8월 24일 첫 회를 방영했던 SBS 수목드라마 <질투의 화신>은 <W 더블유>와 <함부로 애틋하게>의 스타들이 포진한 양강구도에서 1회 7.3%, 2회 8.3%(닐슨 코리아 전국 기준)로 거뜬히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 양호한 성적과 달리, 1,2회를 방영한 직후 <질투의 화신>과 관련하여 화제가 되었던 것은 극중 기상캐스터로 등장하는 여주인공의 캐릭터 설정이었다.

빨간 출입증의 기상캐스터, 표나리

실제 기상캐스터로 일하는 사람의 입장까지 보도되는 등(실제 기상캐스터가 본 질투의 화신, 사실 왜곡 화난다, 스타뉴스) 온라인상에서는 극중 기상캐스터로 등장하는 표나리(공효진 분)의 처신과 표나리를 대하는 방송국 사람들의 적나라한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SBS 수목드라마 <질투의 화신>

표나리는 3회에 설명되는 것처럼 어려운 가정 형편에도 아르바이트를 해가며 아나운서 학원을 다니고, 몇 번의 낙방 끝에 아나운서 대신 기상캐스터가 되었다. 7시 뉴스의 마지막 5분을 책임지는 경력 5년 차이지만 여전히 정규직 아나운서들 앞에서는 물론, 방송국에서 기를 못 펴는 비정규직이다. 거기에 '엉덩이를 좀 더 빼라'는 식의 성적 수치심을 주는 디렉팅을 감수하는 것은 물론, 아르바이트 명목으로 갖은 잔심부름까지 하는 형편이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결국 기상캐스터의 존재론이다. 3회에 드러나듯, 서숙향 작가가 표나리를 통해 그리고자 한 것은 정규직의 파란 줄 출입증을 가지지 못한, 빨간 줄의 비정규직 기상캐스터이다. 그리고 뉴스의 일부를 책임지고 있지만 보도국의 일원으로 대접하지 않는 방송국의 노골적인 위계질서와, 방송이 여성을 다루는 관습에 대한 '통찰'이다. 하지만, 그런 작가의 의견은 '성적'으로 희화화된 표나리와 노골적인 '을'의 존재로 인해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여성 아나운서를 '뉴스의 꽃'이라고 일찌감치 규정했던 세상, 거기에 '연성화'되어가는 방송 현실에서 케이블을 위시한 각 프로그램 여성 캐스터들의 '야한' 옷차림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질투의 화신> 속 표나리의 노골적인 을의 처지는 그 누군가에게는 모욕이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너무도 현실적인 설정으로 '공감'을 주는 내용이 될 수도 있다. 드라마 속 기상캐스터 설정이 줬던 이 불편함은 '진실'과 '왜곡'의 경계에서 문제를 던진다. 이렇게 서숙향 작가의 <질투의 화신>은 우리가 사는 세상의 '미묘한 지점'에 초점을 맞춘다.

유방암에 걸린 남자, 이화신

SBS 수목드라마 <질투의 화신>

방송국 내 '을'인 기상캐스터 표나리의 수모가 이어졌던 1,2회에 이어 3회는 남자 주인공 이화신의 수모 에피소드가 그려진다. 이미 첫 회에서 이화신의 가슴을 '탐'하여, 그조차도 여성에 의한 성희롱 논란을 빚었던 드라마는 그 '미묘한' 접촉을 이화신의 유방암 설정으로 이어간다. 부담스레 이화신의 가슴에 집착했던 표나리는 그 이유를 유방암에 걸렸던 할머니, 어머니와 같은 느낌이기 때문이라 밝히며 '성희롱'의 경계를 넘어선다. 자신에 대한 집착이라 무시했던 이화신은 하지만 교통사고로 인한 치료 과정에서, '유방암'일지도 모른다는 진단을 받기에 이른다.

결국 이화신은 여성들이 입는 '분홍색' 가운을 입고, 유방암 진단을 위한 촬영을 하게 된다. 건강검진을 해본 여성들이라면 공감할, 그 어떤 검진보다 고통스럽고 때론 모멸스럽기까지 한 유방암 진단 촬영을 가슴이 없는(?) 남자 이화신이 하게 된 것이다. 가슴이 없어 쥐어짜서 촬영을 해야만 하는 과정을, 드라마는 애교스럽게(?) 그 옛날 영화에서 남녀상열지사를 물레방아로 대신하듯, 과즙이 쥐어짜지고 호두가 부서지는 영상을 통해 생생하게 표현해냈다.

하지만 유방암 촬영기 앞에 가슴을 짓눌리는 이화신의 모습은 앞서 표나리의 기상 예보 과정처럼, 보는 이로 하여금 미묘한 경계에 다시 한번 서도록 만든다. 과연 저 장면을 유방암 진단 과정의 '리얼'함으로 웃어 넘겨야 할까? 아니면 표나리가 이화신의 가슴을 주무르는 데서 느꼈던 불편함처럼 또 다른 성적 '희롱'으로 보아야 할까?

SBS 수목드라마 <질투의 화신>

드라마는 마치 장군멍군처럼 여주인공 표나리에 이어 이화신에 대한 경계성 설정을 통해 서사를 풀어나간다. 과연 이런 설정이 노이즈 마케팅 같은, '논란'을 통한 화제성의 부추김일까? 아니 오히려 <질투의 화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바로 그 '경계'인 듯하다.

극중 남자 주인공 이화신은 가족과 '절연'에 가까운 상태다. 촉망받는 기자였던 그는, 자신의 형 이중신이 했던 사업체의 가짜 차돌박이 보도 후 도피하듯 지난 3년간 방콕에서 보냈다. 이화신은 어차피 형의 가짜 차돌박이 사용은 보도가 될 사안이었기에 동생인 자신이 먼저 해서 언론의 '가차 없는' 뭇매를 피해 정확하게 보도하겠다는 입장이었지만, 그 결과 형의 사업은 망했고, 형의 딸인 빨강을 비롯한 가족 심지어 형의 전처까지 그를 '사람'으로 보지 않는다.

이런 식이다. 현실에서 이화신의 진심은 '공감'이 아니라, 천하에 형까지 팔아먹는 나쁜 놈이란 '모욕'으로 돌아온다. 아니 '곡해'된다. 작가는 그런 '오해받기 딱 좋은' 경계를 통해, 우리가 사는 세상을 그려가고 싶은 것은 아닐까?

세상은 공감대신 갈수록 니 편과 내 편, 남자 편과 여자 편을 갈라 서로의 편먹기와 그 편의 성을 공고히 하는 전열을 정비하는 데 골몰한다. 제반의 사건들은 조금의 이해 대신, 과연 이것이 내 편의 전략에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의 전술적 가치로 나뉜다. 그런 가로세로 구획 정리로 바쁜 세상에서 <질투의 화신>은 가장 미묘한 경계로부터 오해를 불러일으키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 위험천만한 시도가 대중의 공감을 살지, '모욕'만을 남기며 사라질지는 서숙향 작가의 내공에 달려있다. 부디 그 경계의 서사에 행운이 깃들기를 기대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