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의 용산참사 보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참여연대, 한국진보연대 등 40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민생민주국민회의는 5일 오후 1시30분, 서울 여의도 KBS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거민과 검찰 사이에서 KBS가 최소한의 기계적 중립마저 내팽개치는 등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하고 있다”며 “살인진압을 은폐하는 검찰의 면죄부 수사에 대해 제대로 보도하라”고 촉구했다.

▲ 민생민주국민회의가 5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여의도 KBS본관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BS는 살인진압을 은폐하는 검찰의 면죄부 수사에 대해 제대로 보도하라”고 촉구했다. ⓒ민생민주국민회의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사실상 용산 참사가 터진 직후부터 KBS의 보도는 ‘공영방송’의 역할을 포기한 것이었다. 검찰의 ‘전철연 배후설’을 부각하고, 전철연의 ‘폭력성’을 강조하더니 ‘심층보도’에서는 철저한 수사와 진압 책임자 처벌 요구를 ‘국론분열’로 호도했다”며 “KBS가 끝내 ‘이명박 정권의 나팔수’ 노릇을 한다면 시민사회의 뜻을 모아 특단의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KBS는 검찰이 화재원인을 ‘철거민들의 시너’로 몰아가기 위해 공개한 이른바 ‘액체 동영상’을 메인뉴스 첫 꼭지로 부각하는가 하면, 이 ‘액체’가 ‘시너’라고 단정적으로 몰았다”며 “그러면서도 ‘경찰이 쏟아부은 물대포로 망루 전체가 젖어 불씨가 없었다’, ‘시너를 뿌리지 않았다’는 농성 철거민들의 주장은 보도하지 않아 최소한의 ‘기계적 중립’마저 내팽개쳤다”고 지적했다.

▲ 2일 KBS <뉴스9>
이들은 2일자 KBS <뉴스9> 보도에 대해서도 “시작부터 ‘진압작전 과정에서 83명이 목숨을 잃은 미국 사례’를 영상과 함께 보도하며 ‘진압 작전을 강행하다 벌어진 참사로 과잉진압 논란이 일었지만 공권력에 책임을 묻지 않았다’, ‘검찰은 오늘 브리핑에서 경찰 과잉 진압의 책임을 어느 선까지 물을 수 있을지와 관련해 바로 이 사례를 참고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검찰 주장에 힘을 실어줬다”며 “검찰이 경찰을 ‘무혐의’ 처리할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이는 ‘면죄부 수사’를 정당화해준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MBC <PD수첩>이 용역 동원의 실상을 파헤친 후, KBS도 ‘용역동원 의혹’을 다루긴 했으나 이 보도 역시 ‘물대포를 쏘는 용역직원’에 대해서만 다루었을 뿐, 살인진압이 시작되기 직전 특공대를 쫓아 농성건물 쪽으로 사라지는 용역직원들에 대한 의혹은 언급하지 않았다”며 “공영방송의 역할을 포기하고 있는 KBS는 지금이라도 국민의 품으로 돌아올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공미디어연구소(이사장 전규찬)도 방송사의 용산보도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며 “KBS가 언론으로서 사회적 기능을 망각하는 무책임한 보도 행태를 보였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사건 최초 보도일인 1월 20일부터 28일까지 방송 3사 메인뉴스를 분석한 연구소는 “방송3사 모두 주로 검찰 수사 진행 상황에 초점을 맞추며 검찰이 제시하는 아젠다, 즉 발화원인 등에 대한 보도를 주로 내보냈지만 특히 KBS는 용산철거민 참사를 일반적인 화재사고와 다름없는 ‘사고’로 취급하며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침묵하며, 발화원인과 철거민 투쟁의 폭력성을 부각해 사건의 본질적 보도에는 매우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KBS는) 사건 보도의 적극성도 기사에서 드러나지 않았으며, 원인진단에 있어서도 현상적으로 접근해 대단히 소홀하고, 관련자(단체)의 입장 열거에만 치우치며 시시비비를 가리기를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이는 KBS가 표방하는 ‘공정성’에 기인하다기 보다, 언론으로서의 사회적 기능을 망각한 무책임한 보도 행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