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이 한식 조리사 자격증에 도전했다. 이를 위해 한식 조리 학원에 다니기 시작했는데 한식을 배우기 시작한 지인이 가장 놀란 것은 뜻밖에도 우리 요리에 들어가는 엄청난 양의 설탕이었다. 설탕은 서양 요리에나 들어가는 줄 알았는데 우리 요리에도 '설탕'이 안 들어가는 곳이 없단다. 그런데 '설탕'하니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 바로 백선생, 백종원 셰프이다.

설탕, 자신의 정체성을 떳떳이 주장하다.

요즘 이른바 '백종원 레시피'가 대유행이다. 백종원표 된장찌개, 백종원표 만능 간장, 그가 요리 프로그램에서 하는 레시피마다 화제가 되어 검색어에 오르내린다. 이뿐만이 아니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그가 요리 과정에 즐겨 쓰는 '설탕' 역시 화제의 중심에 올랐다. 그의 말대로 요리가 맛이 없을 때 넣으면 웬만해서 맛이 없지 않도록 만드는 재료의 대명사로 '설탕'이 등장했다.

그런데 '설탕'은 조리 과정에 들어가는 재료 중 하나에 불과할 뿐이지만 설탕으로 상징되는 '단맛'은 하나의 트렌드를 반영한다. 6월 25일 새롭게 시작한 <썰전>에 출연한 최진기의 분석처럼 소주에서도 '순하리'와 같은 달달한 소주가 등장하듯 '단맛'이 이 시대의 새로운 트렌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상당히 격세지감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설탕'은 비만과 인스턴트 음식의 대명사였었다. 그래서 '설탕'기를 뺀 다이어트 콜라가 유행했었고 모든 요리에 설탕을 가급적 빼는 것이 레시피로 등장했으며 '설탕'의 각종 대용품들이 등장했다. 설탕 대신 '매실액'을 쓰는 것이 건강의 상징처럼 여겨지곤 했었다. 그러던 것이 마치 다이어트 식단으로 먹던 사람들이 '요요 현상'을 겪으며 '정크 푸드'에 빠져드는 것처럼 음식을 더 맛있게 만들기 위해 설탕을 마구 투여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었다.

세프 전성시대의 '걸진' 음식들

이렇게 더 맛있는 음식을 탐닉하게 된 시대의 상징이 바로 세프들이다. 세프란 갖가지 식재료를 가공하여 요리로 만드는 전문적인 사람들을 말한다. 세프들이 트렌드에 중심에 서면서 보다 맛있는 요리들이 tv를 채운다. 대표적으로 <냉장고를 부탁해>는 세프들이 갖가지 재료들을 써서 출연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굳이 대결 방식의 프로그램이 아니더라도 세간에 회자되는 백종원 레시피를 보면 기존에 사람들이 하던 요리 방식을 뛰어넘는 그 무엇을 제공하기 위한 비법이 강조된다. 그나마 소박했던 <삼시세끼> 조차도 '차줌마'가 등장하면서 소박한 밥상 대신 '요리'를 한다.

6월 22일 방영된 <냉장고를 부탁해>를 보면 샘킴은 써니를 위해 오겹살을 요리한다. 오겹살에 갖가지 양념을 발라 조리를 하고 거기에 다시 달콤한 소스를 끼얹는다. 그런데 오겹살은 요리를 하지 않아도 이미 그 자체로 맛있는 재료이다. 하지만 세프들은 보다 맛있는 요리를 만들기 위해 이미 맛이 보장된 재료들을 가지고 다시 요리를 만든다.

어디 재료뿐이랴, 흥건하게 사용되는 부재료는 설탕만이 아니다. 버터 역시 지천이다. '버터'가 들어가면 이미 게임 끝이라고 했듯이 한때는 '콜레스테롤'의 대명사였던 버터가 한 주걱씩 요리에 들어간다. 버터만이 아니다. tv 속에서 만나게 되는 대부분의 요리들은 이미 맛이 보장된 재료들에 갖가지 양념들과 기기묘묘한 조리 과정을 더해 미각을 홀리는 완성품이 되어 등장한다. 며칠 간 화제가 되었던 백주부의 된장찌개나 만능 간장 역시 '고기'를 빼놓고서는 설명이 안 된다.

재료만이 아니다. <한식 대첩>의 경우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각 지역의 요리 경연자들이 요리 재료를 들고 전쟁터에 무기 들고 나오듯 등장하는 과정이다. 거기서 그들은 각자 자기 지역의 뽐낼 만한 재료들을 들고 나오는데 종종 살아 움직이는 오리, 오골계, 물고기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살아 움직이는 생명들을 보고 생명의 외경심이나 '살생'의 아득함을 떠올리지 않는다. 그저 그 생명들이 얼마나 맛있는 재료가 될 것인가에만 골몰한다.

이렇게 이미 살아 움직이는 생명을 보고 입맛을 다시는 요리 프로, 이미 맛이 보장된 식재료에 과한 양념을 더해 가는 과정에서의 탐닉 그리고 보다 더 맛있는 요리를 향한 레이스로 점철된 각종 요리 경연 프로그램들에 '고기 없는 월요일'이 상징하는 생명에의 외경, 지구를 나누어 쓰는 한 세대의 겸손함이란 찾을 수 없다. 심지어 한때 유행하던 '자연식'이나 건강식 조차 쉽게 발을 들이밀 여지가 없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이런 tv 속 탐닉에 극치가 현실의 역반응이라는 것이다. '썰전'의 최진기가 현실의 쓸쓸함을 잊기 위한 달콤함이 트렌드라 지적하듯 현실은 한 끼의 밥조차 제대로 챙겨먹기 힘든 세상이다. 황교익 칼럼니스트의 말처럼 맛집을 찾아갈 형편이 안되는 세상에 사는 사람들은 tv 속 요리에 대리 만족을 한다. 사람들은 아프리카 tv 먹방을 보며 편의점에서 한 끼를 때우던 그 시간의 연장으로 <마이 리틀 텔레비젼>의 백종원 레시피에 열광한다. 그리고 최현석, 샘 킴의 레스토랑은 비싸서 엄두를 내지도 못하지만 <냉장고를 부탁해> 속 그들의 경연을 평하며 그들의 요리를 맛본 듯 만족감을 느낀다. 삶의 팍팍함과 tv 속 요리의 화려함은 역비례한다.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톺아보기 http://5252-jh.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