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의 제국 종영 후 새롭게 시작한 수상한 가정부. 그 제목만으로도 수상하다. 내용을 보니 더 수상하다. 박복녀라는 가정부는 로보트처럼 행동하고, 은상철은 불륜을 저질러 아내가 자살했는데도 계속 우유부단한 태도를 보이며 아이들로부터 신뢰를 잃게 된다.

수상한 가정부는 일본에서 2011년에 방영되었던 가정부 미타가 원작인 드라마이다. 가정부 미타는 일본에서 40%가 넘는 시청률을 올렸다고 한다. 일본 드라마 리메이크가 한국에서 먹히는 것일까? 직장의 신은 15%의 기록을 내었고, 그 원작인 파견의 품격은 2007년에 방영되었으며 20%의 시청률을 올렸다. 여왕의 교실은 8.2%로 막을 내렸고, 원작인 일본 여왕의 교실은 2005년에 방영되었었다.

일본에서는 성공한 드라마가 한국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김혜수, 고현정의 출연에도 시청률이 낮았던 일본 리메이크 드라마들. 한국의 현실을 반영하기보다는 일본 작품 그대로 가져왔고, 또한 방영된 지도 꽤 오래된 작품들이 리메이크되었기 때문에 감정선이 잘 안 맞았던 것이 공감대를 얻지 못한 요인이었을 것 같다.

가정부 미타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까지는 원작과 싱크로율이 100%이다. 그나마 2011년에 방영되었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또한 다른 일본 드라마에 비해 시청률도 높았던 드라마이다. 한 가지 안전장치는 최지우라는 카드다. 히우지마가 나오고 일본에서 역대 시청률 3위였던 가정부 미타의 한국판이라니 일본인들이 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일본 수출용 드라마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역시 감정선이 한국과는 맞지 않는다. 일본 특유의 과격함과 극단적인 표현과 설정이 거부감이 들게 만든다. 그래서일까. 아직까지 시청률은 6.9%로 황금의 제국이 9%대로 끝내 놓은 것을 1,2회 때 8%로 깎이고, 3회 때는 6.9%로 주저앉은 것이다. 이 시청률은 황금의 제국 마지막회에서 18.6%, 수상한 가정부 1회 때 19.6%, 2회 때 21.5%로 상승한 굿닥터가 모두 흡수했다고 볼 수 있다.

이대로 한국의 정서 및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본 원작 그대로 내보낸다면 흥미도 떨어지고 공감도 덜할 수밖에 없다. 원작 그대로라면 원작을 보는 것이 나으니 말이다. 누가 누가 연기를 더 잘하나 비교할 것도 아니고 그 안의 메시지까지 똑같다면 2011년의 일본과 2013년의 한국이 똑같다는 전제 하에 내보내는 것이나 다름없다.

미드 24를 한국 배우들이 한국에서 그대로 따라 만든다면 얼마나 재미없을까. 그 형식을 따라서 새롭게 만들어낸다면 의학드라마의 발전과 같이 새로운 장르를 개척할 수 있을 텐데 그저 일본에서 인기 있는 한류스타 앞세워서 안전장치 마련한 후 그대로 만들어내는 건 아쉬운 점이다.

수상한 가정부는 직장의 신, 여왕의 교실과 같이 히어로가 등장한다. 직장의 신에서는 만능 계약직, 여왕의 교실에서는 만능 선생님, 수상한 가정부에서는 만능 가정부로 실제로 존재할 수 없는 이상적인 히어로가 등장한다. 사회적 요구에 맞는 캐릭터들이다. 돈은 적게 받고 일은 완벽하게 하라는 사회적 요구가 만능 계약직, 만능 선생님, 만능 가정부라는 히어로는 만들어낸 것이다. 이들은 거의 로보트에 가깝다. 감정은 버리고 이성적으로, 합리적으로만 행동한다. 이 또한 사회가 요구하는 것들이다. 사사로운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공과 사를 구분하는 것이 우리 사회가 요구하고 있는 조직의 부품으로 살아가라는 압박인 것이다.

그 이상적인 캐릭터를 통해 직장에서는 직장의 참뜻을 발견해주고, 학교에서는 교육의 참뜻을 발견해주고, 집안에서는 가정의 참뜻을 발견해준다. 문제는 그런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히어로가 한국의 상황에도 맞고 공감할 수 있냐는 것이다. 오히려 반대로 접근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다. 일본의 문제가 한국의 문제라고 단정 짓고 출발하기보다는 한국의 문제가 무엇인지 관찰하여 분석하고, 그것에 맞는 새로운 히어로를 만들어내었다면 보다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될 수 있지 않았을까. 수상한 가정부는 원작을 따라가지 말아야 시청률이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문화평론가, 블로그 http://tvexciting.com 운영하고 있다. 바보상자 TV 속에서 창조적 가치를 찾아내고 픈 욕심이 있다. TV의 가치를 찾아라! TV익사이팅"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