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현옥 칼럼] 우리 사회에선 정신질환에 대한 두려움이 그 어느 질병보다 크다. 그런데 2021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성인 4명 중 1명이 평생 한 번 이상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할 만큼 정신질환은 흔한 질병이다. 그런데도 정신질환자가 비정상으로 낙인찍혀 사회로부터 배제된 데는 언론의 책임이 크다. 언론의 부정적 혹은 잘못된 정보 전달은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게 된다. 이러한 편견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로 드러난다.

정신질환 관련 언론보도 대부분이 공격성과 위험성에 연관된 것들이다. 일명 ‘묻지마 칼부림’, ‘흉기 난동’과 같은 선정적인 헤드라인 뉴스에는 피의자의 정신질환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기사를 자주 접하게 되면 자연스레 정신질환과 범죄를 연관 짓게 된다. 사람들이 정신질환자를 무서워하게 되고, 이웃 주민이 되는 것에 부정적 인식을 갖게 하는 원인을 언론이 제공하는 것이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실제로 정신질환자에 의한 범죄율은 일반인의 범죄율보다 훨씬 낮다. 대검찰청의 2018년 범죄분석(2018)에 따르면, 2017년에 검거된 살인범죄자의 47.3%가 정상이며 43.4%는 주취 상태,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는 9.3%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53권 제4호 2019).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당사자의 대인관계 위축, 삶의 만족도 저하, 직업획득의 기회 감소 등 사회구성원으로서 지위 상실을 초래한다. 또 정신질환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정신질환 환자를 숨게 만들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중단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정신건강 회복과 사회 복귀에 저해가 된다. 때문에 고립이 심화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이제까지 미디어에서 봐왔던 정신질환의 재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어 신선했다. 드라마에는 공황장애, 우울증, 망상, 조현병 등 다양한 정신질환자가 나오며 주연들 또한 각자 정신질환이 있거나 관련 경험이 있는 인물들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이미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이미지

내과 3년 차에 정신병동으로 전과한 간호사 정다은(박보영)은 정작 본인이 우울증 치료를 받는 게 알려지면 더 이상 간호사로 일하지 못할까봐 치료를 거부한다. 이후 정다은은 병원에 복귀하지만 우울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고, 병동 보호자들은 ‘아픈 분이 사회생활을 한다는 거 자체가 욕심’이라며 간호사 교체를 요구한다.

수간호사 송효신(이정은)의 동생은 오랜 기간 조현병을 앓고 있다. 간호사이자 동생의 보호자이기도 한 송효신(이정은)은 이사를 했지만 아파트 이웃들의 반대에 부딪혀 짐을 풀지 못한다.

이와 같은 모습은 정신질환자를 위험하고 사회생활이 불가능하고 예비 범죄자로 인식하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혐오와 차별 모습 그 자체였다. 하지만 정신질환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누구든지 마음의 병을 앓게 될 수 있고 환자의 잘못은 아니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정신병동의 수간호사 송효신(이정은)은 "누구나 아플 수 있다" 그리고 "곧 아침도 온다"라는 말로 따듯한 위로와 희망의 말을 건넨다.

* 김현옥 언론인권센터 미디어인권교육본부장 칼럼은 사단법인 언론인권센터에서 발행하는 '언론인권통신' 제 1021호에 게재됐으며 동의를 구해 미디어스에 싣습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