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동권 집회를 비난한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를 대신해 무릎을 꿇고 사과했다.
이 대표는 지난 25일부터 사흘 동안 개인 페이스북에 10개의 글을 올리며 전장연의 이동권 집회가 ‘시민의 아침을 볼모로 잡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이 대표는 27일 “전장연은 독선을 버려야 한다”며 “자신들이 제시하는 대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서울시민을 볼모 삼아 무리한 요구를 할 수 있다는 아집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는 “‘불특정한 최대 다수의 불편이 특별한 우리에 대한 관심’이라는 투쟁 방식을 용인한다면 우리 사회의 질서는 무너진다”며 “(전장연은) 조건을 걸지 말고 (집회를)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의 발언에 대해 시각장애인인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전장연에 대신 사과했다. 안내견과 함께 28일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전장연 이동권 시위에 참여한 김 의원은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정말 죄송하다”며 “헤아리지 못해, 공감하지 못해, 적절한 소통을 하지 못해 정말 죄송하다”고 거듭 사과했다.
그러면서 출근길 시민에게도 사과 의사를 밝힌 김 의원은 “정치권이 겪어야 할 불편을 출근길에 불편함을 토로하고 계신 많은 국민들이 겪게 해서 정말 죄송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여야 막론하고 장애인 이동권, 시민 편의 등을 위해 법을 개정하고 만들며 동분서주하고 있다”면서 “한편에서는 잘못된 표현으로 한쪽의 입장을 대변하고 주목을 끄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저는 인수위원장도 당선자도 당대표도 아니지만 대신해서 여러분께 사과드린다. (전장연과) 집회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국민 서로에게 진짜 힘이 되고자 한다”며 “인수위에 (전장연) 여러분의 입장을 솔직하게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장애인 권리 예산도 100%는 아니겠지만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의원은 “장애인이 편해야 모두가 편해진다”며 “유모차, 휠체어 어르신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 시설을 좀 더 넓은 마음으로 함께 해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발언 이후 경복궁역에서 충무로역까지 전장연과 동행한 뒤 국회로 출근했다.
한편 전장연은 지난 25일 소통관에서 ‘장애인권리예산의 정치권 책임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이 대표의 발언을 비판했다. 전장연은 “이준석 대표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 약속 마저 정치적 정파문제로 갈라치기 했다”며 “기초적인 객관적 사실도 무시하고 갈라치기에 앞장서는 이준석 당 대표는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