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 그룹들의 선정성 문제가 매번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뮤직뱅크가 소위 쩍벌춤이라는 이름조차 민망함을 담고 있는 걸 그룹들의 선정적 댄스를 제재하기로 한다는 소식이 들리자 곧이어 걸 그룹 소속사들은 재빨리 자진해서 수정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음악 프로가 주로 청소년들에게 소비된다는 점에서 일단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렇지만 과연 선정성 논란에 음악 프로들이 자신들은 무관한 척 걸 그룹들에게 손가락질하는 무리에 슬그머니 끼어도 되는지는 의문이다.

걸 그룹의 선정성 문제는 결코 하루 이틀 문제가 아니다. 이제는 예술이냐 외설이냐의 해묵은 논쟁도 벌어지지 않을 정도로 일상사가 돼버린 것이 걸 그룹의 성적 어필 문제이다. 그러나 걸 그룹들에게만 이 문제의 책임을 묻는 것은 옳지 않다. 굳이 선정적 이슈가 생기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음악프로를 본다면 민망한 카메라 앵글을 자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 카라멜 경우를 보자. 굳이 카메라가 로우앵글을 잡아 시청자의 관음을 자극하는 화면을 보게 된다. 오렌지 카라멜뿐만 아니다.

언론 또한 마찬가지다. 하의 실종이라는 자극적 유행어를 수도 없이 우려먹으며 여자 연예인들에게 짧은 치마와 바지 입기를 강요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소위 쩍벌춤도 마찬가지다. 겉으로는 비판하는 척하지만 기실 언론의 목적은 선정성의 수정에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자극적인 내용으로 더 많은 독자를 유인하고자 했을 뿐이다. 지금 당장이라도 선정성이라는 단어로 기사를 검색해본다면 바로 확인해볼 수 있다. 비판인지 홍보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태반이다.

이번에 뮤직뱅크가 포미닛, 라니아 댄스의 선정적인 부분을 수정을 말하지만 사실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것과 다름없다. 선정성에 대한 근본적 대책 없이 특정한 요소만 제재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전혀 없다. 예컨대 작년 방송사 음악 프로들이 걸 그룹들의 배꼽 노출을 금지시키자 곧바로 하의실종 패션이 등장했다. 근본적인 문제의식 없는 땜빵식 제재였을 뿐이었다. 이제 너도 나도 킬힐에 속옷인지 겉옷인지 구분할 수 없는 짧은 옷으로 무장하게 되자 하의실종은 걸 그룹들에게 특별한 일이 되지 못하고 있다.

걸 그룹 선정성의 근본적인 문제는 논란이 걸 그룹의 생존방식처럼 굳어진 것에 있다. 특별한 경우를 빼놓고는 걸 그룹의 활동이 논란 없이 끝나는 것을 보기란 쉽지 않다. 그만큼 걸 그룹의 수가 많아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특히 포미닛은 데뷔 초부터 논란의 집중 대상이 되어왔는데 이번에도 여전히 논란의 초점이 됐다는 점이 이제는 아예 습관이 된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그만큼 노이즈 마케팅을 노리는 의도가 걸 그룹 논란의 저변에 깔려 있음을 충분히 의심케 한다.

걸 그룹들의 논란이 여타 연예계 이슈처럼 어떤 실수에 의해 발생된 것이 아니라 다분히 의도됐다는 점이 더 심각한 문제다. 걸 그룹 마케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무대를 쥐고 있는 방송사가 가끔씩 제재의 칼을 휘두르지만 실제 방송 화면을 보자면 걸 그룹을 선정적으로 다루고, 그것을 제공하는 가장 큰 조력자일 뿐이다. 다만 문제가 발생하면 자신들의 책임은 없는 것처럼 엄격한 표정 뒤에 숨을 뿐이다.

진정으로 걸 그룹 선정성 문제를 종식시키고자 한다면 방송 스스로의 솔직한 고백으로 시작해야 할 것이다. 걸 그룹 선정성의 성실한 조력자 어쩌면 배후 조정자일지도 모르는 방송이 뼛속 깊이 자각하지 않고는 논란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무의미한 반복만 되풀이할 뿐이다. 근본적 해결은 멀고 어렵다고 하더라도 우선 가뜩이나 짧은 치마를 입은 걸그룹 무대에 자극적인 로우 앵글을 잡아내는 방송부터 반성해야 할 것이다. 논란이 생기면 마치 몰랐던 척 순진한 표정 짓지는 말기 바란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