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보급 확산에 따라 이용자들의 이동통신 통화품질이 저하되고 있다는 자료가 제시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의 창조한국당 이용경 의원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도입되기 시작한 2009년 11월 이후 1년간 이동통신 통화 절단율은 0.55%로 이전 0.19%에 비해 189% 상승했다. 절단율은 통화가 이루어진 후 종료버튼, 단말기 폴더・슬라이드 닫기 등의 동작 없이 통화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통신의 통화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동통신의 절단율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스마트폰 확산과 관련 있다는 주장이다. 같은 기간 동안 스마트폰 가입자는 46만9천명에서 524만 명으로 960% 증가했으며 전체 가입자의 10.4%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스마트폰 가입자는 46만9천 명에서 524만 명으로 연간 960%가 증가, 전체 이동통신가입자의 10.4%를 차지하고 있다. 이용경 의원은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와 함께 데이터 사용량이 315테라바이트(2009. 10월)에서 2,305테라바이트(2010.10월)로 630%나 증가, 음성 통화 품질 저하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통계조사프로그램 분석결과 역시 절단율과 스마트폰 보급비율의 상관계수는 0.983으로 상관관계가 높다. 1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높다.

이용경 의원은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음성통화 품질 저하 문제는 초기에 대응방향을 제대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중장기 주파수 소요량 산출을 바탕으로 모바일 시대에 맞는 주파수 확보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에 대해서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제어 영역에서 벗어난다”며 “방송통신위원회가 현재의 주파수 정책이 모바일 시대, 스마트폰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인지 정책 재설계의 필요성 여부를 근본적으로 검토해야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현재 통신계에서는 주파수 2.1㎒대역 확보를 위한 이통사간 물밑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