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 45화가 아픔이었다면 46화는 그 아픔을 상처 없이 낫게 해준 행복의 치료약을 맛보게 했다. 그 행복의 치료약은 아버지와 아들의 아름다운 여름 소풍이었다. 요즘은 엄마같이 따뜻한 아빠도 참 많아졌지만 시간을 거꾸로 되돌릴수록 아빠는 아버지가 된다. 그것도 과묵하고 엄한 아버지의 굳은 표정이 된다. 지금 누군가의 아빠가 된 사람이라면 그런 말없는 아버지의 표정이 전부일 것이다. 더욱이 조선시대라면 아버지란 이름은 감히 그림자도 밟지 못할 존경과 두려움의 대상이다.

그러나 손이 귀한 왕실이라면 조금 달라질 수 있다. 게다가 태어난 것을 알고도 보지 못하고 내내 6년을 보낸 아버지라면 그런 지엄한 표정에서 나와 한없이 살가운 아빠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날 아들 금이를 만난 숙종은 열일 제쳐두고 아들을 보기 위해 일찌감치 서당 앞에서 기다렸던 보람이 있었을까? 아이들의 장난을 피해 잠시 시간을 보낸 후 돌아온 서당문은 굳게 닫혀있었다.

그러자 철없는 아비 숙종은 아들을 꼬드겨 서당을 빼먹고 놀러가자고 한다. 겨우 일곱 살에 중용, 대학을 줄줄 꿴들 금이는 아직 애에 불과하니 달콤한 꾐에 못이기는 척 넘어가 농땡이를 치게 된다. 자기 손을 잡고 가는 이 사람이 그토록 그리던 아비이자 임금인 것은 꿈에도 모른 채 그저 처음 경험해보는 남자 어른과의 나들이가 한껏 행복할 뿐이다.

그것은 숙종으로서도 마찬가지다. 장희빈이 낳은 세자도 있고, 태어나서 금세 죽은 영수도 있었지만 아비와 아들의 정을 나눈 기억은 없다. 특히나 저자거리의 사내를 동경했던 숙종으로서는 마음 한 쪽에 북받치는 슬픔에 사무치면서도 아들 손을 잡고 사당패를 구경하고, 씨름판에서 처음으로 누군가와 몸을 맞대고 힘을 겨루는 등의 일들이 꿈같이 행복했을 것이다.

그렇게 땀을 흘리고는 물가로 가 아들과 함께 웃통을 벗고 물장난을 칠 때는 그곳이 세상의 끝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복잡한 감정들이 뒤섞였을 것이다. 6년 만에 만난 어린 아들이 사랑스럽고 또 미안하니 하나의 표정으로 있을 수 없는데, 그런 아비를 전혀 원망하지 않는다는 금이의 말이 또 가슴 속에 북받쳤을 것이다. 이렇게 아름답고도 슬픈 아버지와 아들의 하루는 영화가 아니어서 다행이었다. 영화라면 이토록 행복한 하루 뒤에는 가슴 메이는 슬픔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행복한 소풍은 아들을 보고 싶은 아비의 심정을 달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금이의 나이 일곱이 되어 숙종이 지난 6년간 숨죽여 기다렸던 계획을 실행할 시기가 됐기 때문이다. 그것이 아니었다면 숙종은 금이를 다시 찾지 못했을 것이다. 왕자의 교육과 장희빈의 모친이 동이 사가에 불을 지른 두 가지 일로 인해 남인들도 숙종의 명에 맞설 명분을 갖지 못했다. 그래서 동이와 금이는 교자에 올라 그리운 궁궐로 다시 들어오게 된다.

한편, 숙종과 금이의 하루를 보면서 그 아름답고 슬픈 모습에 천상병의 시 ‘귀천’을 떠올린 사람이 혹시 없었을까 모르겠다. 길지 않은 시라 전문을 감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숙종과 금이의 소풍이 딱 맞는 시라고 하기는 다소 어렵지만 그 장면을 보는 평화롭고 행복한 마음을 표현할 시로는 귀천이 최고가 아닐까 싶다.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 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숙종과 금이의 하루 소풍은 전날의 가슴 아린 벙어리 첫 만남과 달리 흐뭇하고 행복한 장면이었지만 장차 금이에게는 아주 곤혹스러운 일이 되고 말 것이다. 숙종이야 어린 금이가 한없이 귀엽고 사랑스럽겠지만 궁으로 들어가 숙종을 대할 금이의 당황하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서당에서 도망친 후 이 부자의 대화가 배꼽을 잡을 만큼 웃기면서도 이는 앞으로 벌어질 행복한 장면을 떠오르게 했다.

곧 입궐해 숙종을 만나서는 왕에게 “아니 자네가 여긴 웬일인가?”등의 반응과 이런저런 사정을 들은 동이가 숙종을 흘겨보는 표정을 상상하게 된다. 그리고는 금이가 똑같은 말로 흉을 본 이야기 등 6년이란 시간을 떨어져 있어야 했던 동이 가족의 자연스럽고 행복한 장면을 그리기에 적당한 에피소드를 통해 긴 시간을 어색하지 않게 줄일 것이다. 특히 아래 대화는 숙종과 금이 모두 잊지 못할 것이다.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는 말처럼 숙종에게 금이가 어떤 의미에서는 윗전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금 : 사람이 실수도 할 수 있는 게지, 또한 내 옷차림이 그랬으니 내가 자네보다 윗전이라는 것을 어찌 알았겠는가!

숙종 : 네? 예 마마, 소신도 소신보다 높은 윗전이 계신 줄은 꿈에도 몰랐습니다.

매스 미디어랑 같이 보고 달리 말하기. 매일 물 한 바가지씩 마당에 붓는 마음으로 티비와 씨름하고 있다. ‘탁발의 티비 읽기’ http://artofdie.tistory.com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