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국민 10명 중 4명은 대형 사회 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응답자 절반 이상은 향후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참사가 다시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책임교수 및 소장 이동규)는 15일 한국리서치, 씨지인사이드와 조사한 ‘세월호 11주기 재난안전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4.16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약속 시민대회 (사진=연합뉴스)
4.16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약속 시민대회 (사진=연합뉴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대형 사회 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44%로 가장 많았다. 이들 중 31.1%는 ‘중앙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대통령(26.4%), 지방자치단체(14.2%), 야당대표(5.8%), 소규모 지역기업(3.7%) 순이다. 

‘안전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17.6%다. 하지만 안전하다는 응답은 ▲2021년 43.1% ▲2022년 38.7% ▲2023년 29.6% ▲2024년 32.7% ▲2025년 17.6%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응답자들은 대통령이 재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대통령을 컨트롤타워로 인식하는 비율은 41.2%로 가장 높았으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장(16.9%),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10.1%), 행정안전부 장관(8.0%) 순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참사의 경우 대통령을 컨트롤타워로 인식하는 비율이 39.9%에 달했으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18.4%), 행정안전부 장관(13.8%), 국무총리(5.9%)가 뒤를 이었다.

대규모 참사에 효과적으로 대응한 상위 3개 기관으로 소방청(64.6%), 재난의료지원팀(53.5%), 병원 및 의료기관(50.7%)이 꼽혔다. 하위 3개 기관은 대통령실(17.1%), 국무총리실(17.5%), 국회(18.0%)다. 연구진은 “현장 실무기관(소방청, 의료기관 등)은 높은 신뢰를 얻은 반면, 정책 조정기관(대통령실, 국회 등)은 제도적 신뢰가 낮은 구조”라며 “정치·행정 주체들이 실제 참사 상황에서 대응 실패 및 책임 회피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국민들의 위험 인식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참사가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62.2%가 ‘그렇다’고 답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일상생활에서 안전에 ‘신경쓴다’는 비율은 45.9%로, ‘신경쓰지 않는다’(22.8%), ‘보통이다’(28.8%)를 상회했다.

응답자들은 세월호 참사와 유사한 대형 사회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54.4%가 향후 유사한 대형 사회 재난이 발생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률은 11.8%에 그쳤다. 특히 이러한 사회 재난은 향후 10년 내에 다시 발생할 것이라고 보는 응답률은 47.8%에 달했다. 

연구진은 “국민 다수는 향후 대형 사회 재난의 발생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 재난이 반복 가능성이 있는 현실로 인식하게 됐다”며 “이러한 관점에서 반복적 재난에 대응하고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인 사회적 회복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웹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