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세월호 참사 유족과 시민단체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들에게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과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4대 정책과제를 권고했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16연대는 13일 서울 중구 세월호 기억공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완수와 안전사회 건설을 위해 21대 대통령이 반드시 이행해야 할 4대 정책 과제’를 발표했다.

4·16 세월호참사 4대 정책과제 21대 대선 약속운동 선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4·16 세월호참사 4대 정책과제 21대 대선 약속운동 선포 기자회견 (사진=4·16연대)

이들은 2022년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가 정부에 권고한 80개 권고안 중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한 4대 정책과제를 권고했다. ▲세월호 참사와 이후 발생한 국가폭력에 대한 대통령의 책임인정·사과 ▲세월호참사 미공개 정부 기록물 공개·추가 진상규명 ▲4·16생명안전공원·기억추모 공간의 차질없는 건립과 존치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이다. 

첫 발언자로 나선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국가는 재발방지 대책을 세워야 함에도 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 반대로 참사를 축소하고 은폐하고 조작하고 유가족을 사찰하는 등 국가가 해서는 안 될 국가폭력을 저질렀다”며 “새로운 세상을 열어갈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는 다시는 이런 참사가 반복되지 않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국민의 요구를 국정에 적극 반영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승렬 4·16연대 공동대표는 “국가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공식 사과하시길 바란다. 세월호 참사는 피해자들의 잘못 때문에 일어난 일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빚어낸 재난 참사”라며 “후보자들께서는 생명안전기본법, 사람을 존중하는 법과 제도를 정비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했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을 한 시민이 둘러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서울시의회 앞 설치된 세월호 기억공간을 한 시민이 둘러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마지막으로 김지애 고난함께 활동가는 “21대 대통령 후보자들에게 요구한다. 시민들의 열망을 들어 생명안전기본법을 제정하고, 국가폭력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며 권력으로 가린 미공개 자료를 공개해 진상을 온전히 규명해야 한다”며 “참사를 기억하고 기억을 넘어서 책임과 변화를 만들어 가는 그 걸음에 함께 설 대통령을 원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후 ‘투표 퍼포먼스’가 진행했다. 이들은 ‘진실 책임 생명 안전에 투표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21대 대통령선거 모형 투표함에 4대 정책과제가 적힌 투표용지를 넣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