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12.3 내란 사태’와 관련해 미국과 일본 언론은 윤석열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한미일 관계’ 약화를 우려하는 보도를 이어온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은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며 내란과 이어진 정치 상황을 중계하면서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옹호한 대만 정치인을 비판했다. 

17일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센터장 채영길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한국 계엄에 대한 미중일 외신 보도 분석> 리포트를 발간했다. 미디어외교센터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부터 10일까지 미중일 주요 30개 언론사의 계엄 관련 보도 1,590건의 키워드, 핵심 주제 등을 분석했다.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한국 계엄에 대한 미중일 외신 보도 분석' 리포트 갈무리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한국 계엄에 대한 미중일 외신 보도 분석' 리포트 갈무리

미디어외교센터는 그 결과 “이번 사태로 인한 파급 효과와 국제 정세 전망 등 핵심 이슈와 보도 프레임에 있어서 미·일 언론과 중국 언론 간 차이가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미중일 언론사별 키워드는 ▲미국은 윤석열, 계엄령, 탄핵 ▲중국은 계엄령, 탄핵, 대만 ▲일본은 계엄, 민주주의, 탄핵 소추 등이다. 

미국 언론사는 이번 ‘12.3 내란 사태’와 관련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에 대한 우려, 한미일 삼각 동맹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한 파급효과 등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특히 미국 언론은 민주주의 정상회의 주최국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라는 아이러니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 언론은 권위주의가 확산되는 아시아 지역 민주주의의 위기 사례를 설명하며 한미일 협력 체제 약화에 대한 우려를 표방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미디어외교센터는 “보도된 기사들의 논조는 대체로 우려와 경고를 담고 있었다”면서 “한국의 정치적 불안정이 국내외적으로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해 강조했다“고 밝혔다. 미디어외교센터는 “이에 반해 한국 시민 사회가 보여주는 민주적 가치 수호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도했다”고 전했다.

미디어외교센터는 특징적인 미국 언론 보도로 USA TODAY의 7일 보도 <계엄령을 선포한 대한민국 대통령은 폭군이다. 그를 탄핵하라>와 CNN의 7일자 기사 <북한, 러시아, 중국은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한국에서 위기가 전개되는 것을 지켜봤다>를 꼽았다.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한국 계엄에 대한 미중일 외신 보도 분석' 리포트 갈무리
한국외대 미디어외교센터 '한국 계엄에 대한 미중일 외신 보도 분석' 리포트 갈무리

한국 정부에 비판적인 논조를 보였던 중국 언론은 이번 ‘12.3 내란 사태’와 관련해 중립적인 경향을 보이면서도 국회, 시위대 현장 상황, 한국 정세 변화 등을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중국 국영방송 CCTV는 계엄령 선포 직후 추가 특파원을 파견해 계엄해제까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도하면서 특히 계엄령 선포 원인으로 김건희 씨에 대한 윤 대통령과 야당의 의견차이를 꼽았다. CCTV는 현장 상황 외에 별도의 입장표명을 하지는 않았다. 이 같은 보도 경향은 12.3 내란과 관련해 “한국 내정에 논평하지 않겠다”는 중국 외교부의 입장과 맞닿아 있다.

미디어외교센터는 “중국 언론은 또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미·일 정부의 부정적 여론, 한국 경제 침체, 한국 현직 주요기관장 경찰 조사 등을 보도하면서 한국 정세의 급격한 변화에 예의주시했다”며 “대만 민진당 일부 의원의 한국 계엄령 지지 SNS 게시글에 대한 비판과, 여론 동향을 보도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주요 언론은 홈페이지에 별도의 ‘계엄’ 세션을 마련하는 등 12.3 내란 사태를 비롯한 수사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일본 진보·보수 언론 모두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해 ‘자폭’ ‘기이한 행동’ 등의 표현을 사용하면서 비판적으로 보도하는 한편, 조기 대선과 관련해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대일 강경 성향을 전하며 ‘한일 셔틀외교 중단’ 가능성을 우려했다. 

미디어외교센터는 “일본 언론은 이번 계엄사태가 한일 관계, 한미일 안보 협력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면서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둔 시점에서 한미 관계 악화 가능성, 한미일 3국의 북한에 대한 억지력 저하 등을 우려했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