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내년도 연합뉴스 정부구독료 예산이 220억가량 삭감된 50억여 원이 편성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구성원들이 경영진에 삭감 배경, 대응책 등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기자협회보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약 279억 원을 지원한 연합뉴스 정부구독료를 내년 예산안에서 50억 원으로 편성했다. 220억 원가량 삭감됐으며 사실상 뉴스사용료는 전액 삭감, 공적기능 순비용 보전액만 남았다. 연합뉴스 정부구독료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의 공적기능 보전 비용과 뉴스 사용료를 합산한 것으로 뉴스통신진흥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직접 지원한다.

연합뉴스 사옥 (사진=미디어스)
연합뉴스 사옥 (사진=미디어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는 지난달 31일 사내 게시판에 성기홍 사장이 정부구독료 삭감 사태에 대해 직접 설명하라는 내용의 공개 질의서를 게재했다. 연합뉴스지부는 “구독료가 대폭 삭감됐다는 소식은 더 쉬쉬할 비밀이 아니다”라며 “희망퇴직, 구조조정, 비용 절감 등 섣부른 관측이 안팎에서 튀어나온다. 회사가 절체절명의 위기라는 우려가 팽배하다. 느닷없는 회사 걱정에 출근길은 가시밭길이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지부는 “구성원은 이미 몇 년째 임금 동결, 사실상의 삭감을 버텨냈다. 회사를 위해 보상도 없는 그림자 노동을 감수했는데 미래가 더 어둡다”며 “울분과 좌절감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대체 우리가 무슨 잘못을 저질렀기에 이 굴욕을 견뎌야 하는가”라고 토론했다. 

연합뉴스지부는 “한 가지 분명한 점은 경영진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점”이라며 “성기홍 경영진은 이미 올해 구독료 예산 49억원 삭감으로 회사에 크나큰 부담을 안음에도 삭감된 구독료 예산을 복구시키기는커녕 수백억원대 예산삭감을 또 얻어맞았다. 경영진은 구체적인 수치를 함구하지만, 주요 미디어지 보도를 보면 내년도 구독료 예산 삭감 규모는 220억원에 이른다고 하는데, 한때 300억원대에 이르던 구독료 규모가 50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는 것에 분이 차 오장이 뒤집힐 노릇”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지부는 경영진이 현 상황을 오도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지부에 따르면 지난 6월 열린 노사협의회에서 경영진은 구독료 협상 상황과 관련해 “비관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지부는 “당시 이미 일각에서 200억원 삭감설이 흘러나오던 때”라며 “경영진은 또한 기수별 모임에서도 여러 차례 구독료 협상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는데 거짓말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합뉴스지부는 경영진을 향해 ▲구독료 협상 과정 ▲경영진의 낙관적 예상과 달리 정부구독료가 대폭 삭감된 이유 ▲국회 심의 과정에서 구독료 인상 여부 전망 및 증가 폭 예상치 ▲수익 감소에 대한 대응책 설명 ▲인력 감축 및 신규 채용·특파원 규모 축소 등 조직개편 고려 여부 ▲자금 마련을 위한 자산 매각 고려 여부 등에 대한 설명을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