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연 300억원 규모의 연합뉴스 정부구독료가 50억원 삭감됐다. 이에 대해 연합뉴스 구성원은 '언론 길들이기'라고 반발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여권에서 연합뉴스 정부구독료를 손봐야 한다는 의견이 불거졌다.   

26일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이하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는 성명을 내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내년도 예산안에서 정부 구독료는 올해보다 약 50억원 줄었다. 역대 최대 삭감 폭"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사옥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사옥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는 올해 328억원 지원한 연합뉴스 정부구독료를 내년 예산안에서 278억원으로 편성했다. 정부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이다. 연합뉴스 정부구독료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의 공적기능 보전 비용과 뉴스 사용료를 합산한 것으로 뉴스통신진흥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직접 지원한다.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삭감 폭이 줄어드는 듯했지만, 결국 정부 방침이 관철됐다. 구독료 삭감이 정부의 건전 재정 기조에 따른 것이라고 하지만,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의 공적 기능에 대한 얕은 인식이 안타깝다"며 "연합뉴스를 정권의 나팔수로 길들이기 위한 압박 아니냐는 의구심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친정권 보도가 고개를 든다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독자의 신뢰로 먹고사는 언론사에 공정 보도는 포기할 수 없는 가치"라며 "언론사는 망할 지경이 돼도 독자의 신뢰만 있다면 언제든 다시 일어설 수 있지만, 불공정 보도로 신뢰를 잃어버리면 수익이 넘쳐 돈 잔치를 하더라도 이미 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7월 국민의힘 ICT미디어특위 위원장인 윤두현 의원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연합뉴스는 인터넷에 다 뜬다. 연합뉴스나 각 언론사에 국민 세금이 들어가서 공적 기능을 제대로 한다면 왜 그걸 마다하겠나"라며 "공적 기능이 제대로 되는지 검토하고, 그에 걸맞은 세금 집행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자신에 대한 비판기사를 이유로 연합뉴스 구독을 끊겠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스마트폰 뉴스 시대에 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데 늘 해오던 관성으로 전국 지자체가 구독료를 강제징수 당하는 느낌"이라고 했다. 

지난 8월 내년도 예산안 편성 국면에서 연합뉴스 내부에서 '정부구독료 100억 삭감 통보설'이 돌았다. 기획재정부(장관 추경호)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예고한 이후 정부가 연합뉴스 경영진에 정부구독료 대폭 삭감안을 통보했다는 것이다. 당시 연합뉴스 경영진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