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TBS 사장 후보자 ‘정책설명회’가 기자 취재까지 불허하는 등 비공개로 진행된다. ‘밀실 사장 선임’이라는 비판이 거세질 전망이다. 당장 TBS 구성원들은 ‘공개 정책설명회’ 당일 피켓 시위를 예고했다.
TBS 임원추천위원회는 오는 13일 사장 후보자 정책설명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TBS 임원추천위는 일정, 후보자 정보를 내·외부에 비공개하고 있다.

TBS 임원추천위는 11일 보도자료를 내어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진행중”이라며 “시민평가단에게 대표이사 선발에 필요한 충분한 평가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평가단 및 관계자 등 약 100여명을 대상으로 공개정책 설명회를 개최하되, 후보자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TBS 관계자는 12일 미디어스에 "임원추천위로부터 '기자들의 취재는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받았다"고 전했다.
또 TBS 임원추천위는 “대표이사 후보 공개정책 설명회는 최종 선발에서 탈락한 후보자들의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인권침해 및 쟁송의 우려가 있어 생중계 대신 영상물로 녹화하여 기록물로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책설명회 생중계는 물론 차후에도 관련 영상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얘기다.
시민참여 반영 비율도 30%로 줄어든다는 소식이다. TBS 임원추천위는 '40% 이내'의 시민평가 점수와 면접심사 점수를 합산해 2명 이상의 후보를 서울시장에게 추천한다. 2018년 이강택 TBS 사장 선임 당시 시민평가 40%, TBS 임원추천위원회 평가 60%가 반영됐다.

조정훈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장은 이날 미디어스와 통화에서 “사장 선임 과정을 비공개로 해서 ‘밀실 낙하산' 인사가 대표로 선임된다면 그 대표가 어떤 명분을 가지고 TBS 정상화와 공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조 지부장은 “이렇게 밀실로 진행하는 것을 정말 이해할 수 없고 시민의 눈높이와 내부 구성원들의 바람과도 너무나도 동떨어진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정하지는 않았지만, ‘공개 정책설명회’ 당일 피켓 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창현 언론노조위원장은 10일 열린 '투명한 TBS 사장 선임과 시민참여 보장 촉구' 기자회견에서 “밀실에서 진행하는 사장 선임 절차는 시민의 방송인 TBS에 자신의 끄나풀을 앉히고 친국민의힘 방송을 만들겠다는 또 다른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했다.
16일 사장 후보 면접심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어디까지나 알려진, 16일 TBS 사장 후보 면접심사
- TBS 임원추천위, 사장 선임 과정 모조리 '비공개'
- TBS 구성원, 사장 후보자에 '서울시 조례 폐지 대책' 공개 질의
- "불공정 이유로 TBS 조례폐지…사장 선임 과정은 공정한가"
- 오세훈, TBS 예산 쥐고 "진정한 언론으로 거듭나라"
- '조국 흑서' 공동저자 강양구 "TBS 사장 응모한다"
- "TBS는 역량 갖춘 조직…가능성 꽃피우고 싶다"
- TBS 사장 후보자는 왜 이름을 가려야 할까
- 시민평가단도 모르는 TBS 사장 후보자 '이름'
- TBS 사장 후보자 6인 공개합니다
- 서울시, 배수의 TBS 사장 후보자 검증 돌입
- TBS 직능단체 "새 사장은 제작자율성 보장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