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MBC가 지역 낙인찍기가 될 수 있다며 ‘이태원 참사’를 ‘10·29 참사’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
이지선 앵커는 5일 <뉴스데스크>에서 “MBC는 오늘부터 ‘이태원 참사’가 아닌 ‘10·29 참사’로 부르기로 했다”며 “특정 지역의 이름을 참사와 연결지어 위험한 지역으로 낙인 찍는 부작용을 막고, 해당 지역 주민과 상인들에게 또 다른 고통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 앵커는 “한국심리학회도 이런 명칭 변경을 제안한 바 있고, 과거에도 ‘진도 여객선 침몰’을 ‘세월호 참사’로, ‘뉴욕 쌍둥이빌딩 붕괴’를 ‘9·11 테러’로 바꿔 쓴 전례가 있음을 알려드린다”고 전했다. 한국심리학회는 지난달 30일 성명을 통해 “지역 혐오 방지를 위해 10·29 참사라 부르고자 한다”고 제안했다.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도 '10.29 참사'로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어준의 뉴스공장> 진행자 김어준 씨는 7일 방송에서 “뉴스공장에서는 신지영 교수와 이야기 나눈 끝에 ‘이태원’이라는 지명을 사용하지 않고 ‘10·29 참사’로 부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신지영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는 3일 <김어준의 뉴스공장>과 인터뷰에서 ‘이태원 참사’ 명명에 대해 “지역에 대해 낙인을 찍는 것”이라며 “이태원이라는 지역명을 쓰지 말고 ‘10·29 참사’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한국심리학회 등이 ‘10·29 참사’로 표현하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해 “이태원 사고 관련 표현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다양한 의견을 들어서 그런 내용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SBS는 7일 미디어스에 관련 내용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참사보도 가이드라인’
- YTN, 박성중 이태원 참사 '언론 탓' 반박
- 집권여당, 이제는 이태원 참사 '언론 탓'
- '정쟁' 앞세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반대하는 보수언론
- 이태원 참사, '정쟁' 말한 언론인과 '미안함' 밝힌 언론인
- '이태원 참사' 정쟁 자제하라는 조선일보, 문재인 정부 때는?
- '근조' 리본도 논란, 과거 국민의힘은 '근조 공영방송'
- ‘이태원 참사’ 보도 사진·영상 출처, 커뮤니티‧SNS‧유튜브였다
- 중대본, 이태원 참사 다음날 '이태원 사고' 용어 통일 논의
- 이태원 참사, 정부 책임 따지면 '정쟁'이라는 조선일보
- ‘이태원 참사’ 원인, 언론의 단정적 보도 '위험천만'
- 이태원 참사, '토끼머리띠 남성' 찾아 헤매는 언론
- 방통심의위, '이태원 참사' 혐오 정보 11건 삭제
- '이태원 참사' 혐오표현 자제하라는 한국일보, 정작 유튜브에선?
- 이태원 참사에 조선일보 "역부족이었던 측면 있지만...."
- 기자협회, 언론사에 '재난보도준칙' 준수 당부
- 문체부, BBC '10·29 참사' 보도 '수정요청' 했나 안 했나
- 미디어의 언어가 가지는 무게
- 조선일보 지면에 이태원 참사 유족의 절규는 없었다
- "이태원 참사 보도, 사고원인 과학적 분석 부족” 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