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시민사회단체들이 YTN, 연합뉴스TV 경영진에 대해 “소유와 경영의 원칙을 준수하고, 방송 독립을 보장하라는 방송법 취지를 받들어 사장추천위원회를 제대로 구성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사추위 구성 의무화'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한 YTN을 향해 "내란 세력과의 결탁을 대외적으로 선언한 것"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90여개 언론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11일 서울 마포구 YTN 뉴스퀘어 앞에서 <YTN-연합뉴스TV 방송법 '사추위 무력화'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11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마포구 YTN 뉴스퀘어 앞에서 '방송법 무시 최대주주 사추위 장악시도 중단하라'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미디어스)
11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마포구 YTN 뉴스퀘어 앞에서 '방송법 무시 최대주주 사추위 장악시도 중단하라'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미디어스)

지난 8월 26일 시행된 개정 방송법은 보도전문채널에 대해 교섭대표노조와 합의를 거친 사추위 설치·운영, 보도책임자 임명동의제 실시 등을 규정했다. 또 보도전문채널 대표자는 법 시행 3개월 이내에 새 대표자가 임명될 때까지 직무를 수행한다는 부칙을 두고 있다. 

부칙 만료 기한이 약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사추위 설치는 구성 방식을 둘러싼 노사의 입장차로 공전하고 있다. YTN 사측은 노조, 비노조를 포함한 노사 동수의 사추위 구성안을 교섭 대표 노조인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성원의 80%가 소속된 YTN지부는 사측 안이 개정 방송법 취지를 형해화시킨 안이라는 입장으로 '사장 후보자 시민평가단' 설치를 포함한 노사동수 사추위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YTN 사측은 최근 개정 방송법의 사추위 운영 의무화 조항이 ‘주주 권리 침해’ 소지가 있다며 헌법소원에 나섰다. 

YTN(위) 연합뉴스TV(아래)
YTN(위) 연합뉴스TV(아래)

연합뉴스TV 노사도 ‘사추위 구성’에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TV지부는 시청자 대표와 언론분야 전문가가 포함된 노사 동수의 사추위를 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1~4대 주주가 추천한 사외이사가 과반을 차지하는 사추위를 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TV 주요 주주는 연합뉴스(28.007%), 을지학원(14.876%), 박00(11.818%), 화성개발(8.264) 등이다.

이호찬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3개월이라는 개정 방송법 부칙의 시한이 보름밖에 남지 않았는데, YTN 사측과 연합뉴스TV 사측은 시간을 질질 끌며 불법적인 상태를 유도하고 있다”며 “오히려 YTN 사측은 뒤늦게 헌법소원을 운운하면서 자신들 마음대로 사추위를 운영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대주주 마음대로 보도를 전문으로 하는 공적 채널의 사장을 내리꽂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개정 방송법의 취지”라며 “이들 사측의 태도는 이 취지를 고의로 무시하는 것이고, 스스로 보도전문채널을 운영할 자격이 없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런 자들에게 어떻게 보도전문채널 경영진을 맡기냐”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정치권을 향해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구성을 신속히 완료하라며 “그래야 윤석열 정권의 장악으로 왜곡된 방송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방송의 정상화는 윤석열 내란 정권을 쫓아낸 국민의 명령”이라고 강조했다. 

전준형 YTN지부장(왼쪽)과 정현욱 연합뉴스TV지부장(오른쪽)이 '사추위 간섭 말고 방송독립 보장하라'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전준형 YTN지부장(왼쪽)과 정현욱 연합뉴스TV지부장(오른쪽)이 '사추위 간섭 말고 방송독립 보장하라'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미디어스)

전준형 YTN지부장은 “노조가 5차례 파업을 하는 동안 온갖 방송과 신문에서 그 소식이 다뤄졌지만 YTN에서는 단 한 줄의 기사도 나가지 않았다. YTN에는 파업이 없는 일처럼 여겨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간부들이 최대주주 유진그룹의 눈치를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 지부장은 “이런 부역자가 YTN을 좌지우지 못하게 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수십년 간 싸워서 만든 게 사추위"라면서 "그러나 유진그룹이 주인 자리를 차지하자마자 이러한 공정방송제도를 모두 없애버렸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 지부장은 “YTN은 유진그룹의 놀이터가 됐다”며 “유진그룹의 회장은 YTN 간부 수십명을 불러 일과 시간에 술자리를 벌였고, 그의 장남은 YTN 이사회에 아무 자격 없이 참석해 경영 정보를 감시했다. 국회가 나서 공정방송 제도인 사추위와 임명동의제를 강제하니 유진그룹은 헌법소원으로 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전 지부장은 “헌법소원은 유진그룹이 내란 결탁 세력이라는 것을 대외적으로 선언한 셈”이라며 “YTN 구성원들은 2년 넘게 매일매일 유진그룹을 몰아내기 위해 싸우고 있다. 지치지 않고 YTN이 진정한 국민의 보도전문채널이 될 때까지 힘차게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욱 연합뉴스TV지부장은 “사외이사, 외부전문가, 시청자위원회, 노조가 균형 있게 참여하는 사추위 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연합뉴스TV를 만드는 첫걸음”이라면서 “하지만 사측은 주주권리를 내세우며 거부하고 있다. 최대주주인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가 오로지 상법 논리로 언론의 공적 책임을 해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지부장은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복잡하지 않다. 정치와 자본의 눈치를 보지 않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보도전문채널을 세우자는 것"이라며 "공정한 사장 선출, 독립된 편성권, 자율적인 제작 환경 등 이 세 가지 원칙이야말로 연합뉴스TV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