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메신저 텔레그램을 기반으로 불법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한 성착취 범죄집단 ‘자경단’ 총책이 구속상태로 검찰에 넘겨졌다. 텔레그램이 처음으로 범죄 관련 자료를 제공해 수사·검거가 이뤄졌다. 

24일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범죄단체조직과 청소년성보호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자경단’ 총책을 서울중앙지검에 송치했다. 23일 경찰은 ‘자경단’ 일당 54명을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제작·유포, 아동·청소년에 대한 강간(치상), 협박, 강요, 강제추행, 유사 강간 등 19개 혐의로 검거하고 이 중 총책을 포함한 2명을 17일 구속했다고 밝혔다. 

텔레그램 [연합뉴스TV 제공]
텔레그램 [연합뉴스TV 제공]

경찰에 따르면 이번 사건 피해자는 234명(남성 84명·여성 154명)으로 10대 159명, 20대 이상 64명, 인적미상 11명이다. 이들 일당이 제작한 불법 성착취물과 딥페이크 허위영상물의 개수는 총 1546개에 달하며 그 중 실제 유포된 영상물 수는 427건으로 나타났다.

‘목사’라고 불리는 총책은 2020년 5월 ‘자경단’을 결성한 후 SNS를 통해 범행을 계획했다. 경찰은 총책이 지인 딥페이크 합성물 제작·유포에 관심을 보인 남성과 성적 호기심을 표현한 여성에게 접근해 텔레그램으로 신상정보를 확보한 후 유포하겠다고 협박했다고 전했다.

총책 ‘목사’는 약점이 잡힌 피해자 중 범죄에 동조하는 이들을 ‘자경단’ 조직원으로 포섭하고 이들이 또 다른 피해자를 끌어들이는 피라미드형 연쇄 포섭 방식을 사용했다. 새로운 피해자를 끌어들이거나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하면 계급을 올리는 방식으로 조직을 운영했다.

일당은 걸려든 피해자들에게 1시간 단위로 일상을 보고하게 하고 반성문을 작성하게 하는 등 가스라이팅을 했다. 이를 어기면 벌을 준다는 명목으로 나체 촬영 및 자해 등 가학적 성착취 행위를 강요해 심리적으로 지배한 것으로 조사됐다.   

텔레그램을 이용해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한 사이버성폭력 범죄집단 자칭 '자경단'의 총책 A씨가 24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성동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텔레그램을 이용해 성착취물을 제작·유포한 사이버성폭력 범죄집단 자칭 '자경단'의 총책 A씨가 24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성동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피해자의 신고를 받은 경찰은 2023년 12월 수사에 착수했다. 2024년 9월 텔레그램이 범죄 관련 자료를 제공해 국내 최초로 경찰과 텔레그램의 수사 협조 체제가 구축됐다. 

텔레그램은 한국은 물론 전 세계의 범죄 수사에 비협조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가 텔레그램의 핵심 가치를 보안성으로 내세우며 계정정보 등 수사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성범죄의 경우 불법 영상물의 1차 유통 경로를 확인하는 게 필수적인 만큼 관련 자료를 제공받지 못하면 범죄자 검거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2024년 8월 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가 프랑스 수사당국의 정보 제공 요구에 불응한 혐의 등으로 기소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2024년 9월 텔레그램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디지털 성범죄 영상물 긴급 삭제 요청에 대해 “현재와 같은 상황 전개를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불법 영상물 25건을 모두 삭제했다고 밝혔다. 당시 텔레그램은 방통심의위와의 소통 창구를 마련하며 불법 콘텐츠의 유통 방지 의지를 전한 바 있다.

‘자경단’ 총책은 평소 “텔레그램은 안 걸린다”고 말해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오규식 서울청 사이버수사2대장은 “‘사이버 성폭력 범죄자는 반드시 검거된다’는 사실이 범죄자들에게 각인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총책에 대한 신상 공개 여부를 논의 중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