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YTN 시청자위원회에서 ‘수어 방송’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YTN 지분 매각’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경영진은 “공식 입장을 내기 곤란한 부분이 있다”면서 “내부적으로 대응 팀을 꾸려 현안에 대한 움직임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열린 시청자위에서 김문태 위원(대한상공회의소 산업정책팀장)은 ‘경남 합천 산불’ 보도를 언급하며 “YTN 수어 방송이 타 언론사에 비해 미흡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국내 농아인 인구가 40만 명을 넘는다고 하는데, 그분들이 뉴스를 보면서 산불이 어디서 일어난 일이고,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모를 것 같다는 걱정이 들었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 YTN 사옥 (사진=미디어스)
서울 마포구 상암동 YTN 사옥 (사진=미디어스)

김 위원은 “한글 자막보다 수어가 훨씬 더 이해가 빠르다고 하는데, 국내 대표 보도전문 채널인 YTN이 긴급재난방송이나, 국가 중대사를 다루는 이벤트에서만이라도 수어 방송 비중을 확대하면 좋겠다. 국민의 안전을 개도하는 정보 전달 보도나, 캠페인 영상에서도 수어 방송은 보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은 “수어 방송 의무 편성 비율도 5%에서 7%로 늘어났다는 기사도 본 것 같고, 곧 있으면 장애인의 날도 다가오는데 수어 방송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기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장애인방송 의무편성 비율을 확대하는 내용의 고시 개정안을 의결했다. 방통위는 지상파·종합편성채널·보도전문채널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국수어방송의 의무편성 비율을 기존 5%에서 7%로 확대하고 ▲화면해설방송 재방송 편성비율을 기존 30%에서 25% 이하로 축소해 "시각·청각장애인의 방송시청권을 제고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유투권 YTN보도국장은 “재난 상황에서 수어방송이 더 필요하단 생각이 든다”며 “수어 방송하시는 분이 상시 대기 상황이 아니고 정해진 시간에 맞춰 운영해서 한계가 있는데 시청자센터와 논의해서 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YTN 지분 매각 사태와 관련해 경영진의 공식 입장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신미희 위원(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최근 YTN 지분 매각 건이 보도에 오르내리고 있다”며 “YTN에서는 ‘매각에 대해 바람하지 않다’는 짧은 공식 입장 외에 다른 입장이 없어 이 같은 논란이 나올 때마다 구성원과 YTN 입장이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김용섭 YTN 상무이사는 “회사로선 공식적으로 입장을 내기 다소 곤란한 부분이 있다”면서 “회사가 마냥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내부적으로 민영화와 관련해 미디어전략대응TF팀을 만들어서 정기적으로 최근 현안과 움직임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이사는 “궁극적으로 YTN 구성원에게 ‘어떤 식으로 진행돼도 이익에 부합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고 있다”며 “잘 아시겠지만, 주식회사는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게 돼 있고 거기에 이사들은 대주주 이익을 대변하게 돼 있지 않나. 회사가 공개적으로 여기에 대해 입장을 내놓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이사는 “(매각과 관련해) 외부에서 나도는 각종 지라시가 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 사실관계도 하나씩 점검하고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