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서울시의회 권력 지형이 12년만에 국민의힘 쪽으로 기울면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TBS 교육방송 전환'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TBS 구성원들은 'TBS 교육방송 전환'을 '시사·보도기능 박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6·1 지방선거 결과 국민의힘은 서울시의회 전체 112석 중 76석(68%)을 가져갔다. 서울시의회 지역구 101석 중 국민의힘은 70석, 더불어민주당은 31석을 차지했다. 비례의원 11석 중 국민의힘은 6석, 민주당은 5석을 확보했다. 비례대표 의석을 결정하는 정당별 득표율은 국민의힘 54%, 민주당 41%, 정의당 4%로 나타났다. 6석에 불과했던 국민의힘 의석수가 대폭 늘어나게 됐다. 민주당은 12년만에 서울시의회 과반 의석을 얻지 못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시청 본관에서 직원들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 시장은 이번 선거를 앞두고 "교통방송이 제공하는 교통정보를 들으면서 운전하는 경우는 거의 사라졌다"며 TBS를 교육방송으로 전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서울시 교육사업과 인터넷을 접목해 TBS를 교육방송으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오 시장은 후보 시절 TBS 기능 전환에 대해 '6·1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의회 여야 구도가 바뀌게 되면'이라는 전제를 달았다.

TBS 구성원들은 오 시장의 교육방송 전환을 '선 넘은 시사·보도 기능 박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TBS 양대노조(TBS노동조합·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지난달 16일 성명에서 "언론인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언론사의 존립을 외부에서 규정짓는 행태는 과거 군사정부 시절에나 볼 수 있었던 언론탄압과 다르지 않다"고 규탄했다. 다음날 TBS 직능단체들은 공동성명을 내어 "오 후보는 갖은 이유를 붙이고 있지만 속내는 TBS의 시사·보도가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아서임을 누구나 알고 있다"며 "언론은 권력의 소유물이 될 수 없다. TBS도 오 후보의 것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오 시장은 지난달 18일 CBS 라디오 '한판승부'와의 인터뷰에서 "도둑이 제 발 저린 것 같은 느낌이다. 어쨌든 시사·교양프로그램을 없애겠다는 얘기도 한 적이 없다"며 "노조 쪽에서 성명을 냈던데, 너무 앞서가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에 김성회 씽크와이연구소장은 "언론인을 상대로 도둑이라는 표현을 쓰는 건 놀랍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김어준의 뉴스공장만 없어지면 문제 없다고 생각하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전혀 아니다. 시민들이 알토란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바꾸겠다는 화두를 던진 것"이라며 "제가 결정하겠다는 게 아니라 어차피 TBS 조례가 있다. 시의회에서 통과시켜주지 않으면 바꿀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 구성되는 시의회와 심도 있는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서울 상암동 TBS 사옥 (사진=TBS)

오 시장의 TBS 교육방송 전환이 목표하는 바는 보도·시사 기능 폐지로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운영 조례' 등을 개정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방송 전환과 시사·보도 박탈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다. 실례로 편성규제를 받는 EBS는 교육방송의 중립성을 이유로 교육 분야에 한정해 보도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보도를 포함한 방송 전반에 대해 허가를 받은 TBS가 교육방송으로 전환하게 되면 시사·보도 기능에 대한 논란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 시장과 국민의힘은 국정감사,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TBS '편향성'에 대한 조치를 수차례 언급해왔다. 오 시장은 지난해 TBS의 재정독립을 이유로 관련 예산 55억원을 삭감했지만 '뉴스공장' 등 프로그램 편향성을 이유로 제작비를 손봤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