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 공개 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국무회의는 대통령의 모두발언 위주로 공개됐다.
주요 정책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다만 국무회의 과정에서 군사 기밀 등 민감한 사안이 논의될 수 있어 구체적인 실행 단계는 아니라고 한다.

20일 한겨레 등 언론보도를 종합하면, 이 대통령은 전날 열린 비공개 국무회의 자리에서 ‘회의 내용을 국민에게 공개 못 할 이유가 없다. 국민이 궁금해하는 부분들은 공개하도록 하자’는 취지로 말했다. 이 대통령은 경기도지사 시절 도청 간부회의를 온라인으로 생중계했고, 다른 실무회의도 내부망을 통해 전 직원에게 공유하기도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에 “대통령이 그런 말씀을 하셨으니 실제로 어디까지 공개할 수 있을지 등을 두고 담당 부서가 검토에 착수했다”면서 “국무회의 공개에는 여러 난제가 있다. 반드시 비공개할 부분도 있는데 어떻게 공개와 비공개를 나누어 회의를 진행할지 고민스러운 부분이고, 안건이 올라왔다가 보류되기도 하는데 그런 과정들은 공개됐을 때 혼선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무회의 공개 검토 지시를 내렸으나 현실화되지는 않았다. 노 전 대통령은 취임 뒤 “앞으로 국무회의 토론 과정은 청와대 춘추관(기자실)으로 연결하고, 부처별 보고도 각 부처 사무실에 중계방송하는 것을 논의하자”고 지시를 내렸다.
한편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비공개로 예정됐던 회의를 공개로 전환하거나, 기자회견 질의응답 내용을 게재하는 등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12일 비공개 수해 대비 점검회의를 즉석에서 공개로 전환했다. 대통령실은 공식 유튜브 채널에 점검회의 무편집 영상을 올렸다.
대통령실은 지난 17일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 캘거리로 향하는 공군 1호기 안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발언 전문을 유튜브 채널에 게재했다. 또 이 대통령은 대통령실 브리핑룸 개선 방안으로 기자의 질문을 생중계하기로 결정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추천키워드
관련기사
- 이재명 대통령의 언론관, '조작보도 제재'-'국민과 직접소통'
- 대통령실 “질문하는 기자 생중계”…이 대통령 제안
- 대통령실 카메라 추가보다 필요한 것은 "출입처 시스템 개선"
- [단독] 보수언론단체 '언총', 대통령실 출입기자 추천 변함없어
- 대통령실 기자 질문 중계에 딴지거는 국힘 "언론사 길들이기"
- 이재명 정부 공식 명칭 '국민주권정부' 확정적
- 이재명 대통령실 대변인에 강유정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검토
- 이 대통령 첫 지지율 64%…윤석열보다 12%p 높아
- 대통령실 브리핑 수어통역 전면 지원
- 대통령실 "브리핑 생중계, 기자 조롱 부작용...경고 문구 넣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