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KBS가 저녁 시간에 편성한 경제 전문 뉴스 프로그램에서 각종 브랜드명이 넘쳐나고 있다. '유튜브 뒷광고랑 다를 게 없다' '공영방송 뉴스가 대놓고 광고를 해준다' 등의 시청자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박장범 KBS 사장 후보자는 경제 전문 뉴스라서 브랜드가 많이 노출된 것 같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박 후보자는 사장 취임 후 시정할 것이냐는 질의에 "사장이 심의에 대한 결론을 미리 내면 안 된다"고 말했다. 박 후보자는 공약으로 '보도·시사 공정성 강화'를 내걸었다.

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KBS 사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레이디 디올 체인 파우치'를 그냥 '파우치', '조그마한 백'으로 말한 이유가 특정 브랜드를 말하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면서 지난 5월 신설된 KBS 2TV <경제콘서트>를 거론했다.
짜파게티와 너구리를 섞은 '짜파구리' 만들기를 비롯해 식품, 패션, OTT 플랫폼 브랜드가 도배되는 상황은 '뒷광고와 다를 게 없다' '뉴스에서 광고해준다' 'KBS 돈이 많이 없는지 뉴스에서 대놓고 광고' '뉴스인지 브랜드 광고인지 모르겠다'는 온라인 반응을 낳고 있다.
이 의원은 "라면 두 종류 섞어먹는 게 뉴스로서 보도가치가 있냐"며 "버거킹 행사, 한화 재벌가에서 들여온 햄버거집, 틱톡 초대 시 3만 원 이벤트, 올 가을 제니가 즐겨입는 옷 브랜드 국내 출시, 스타벅스 진동벨 도입 등이 공정하고 객관적인 KBS 뉴스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 의원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박 후보자는 "저희가 통상하는 뉴스와는 다른 패턴"이라며 "경제 전문 뉴스이다 보니 브랜드가 많이 노출된 것 같다"고 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뉴스다. 방송심의 규정에 따르면 보도 프로그램이 상품을 소개할 때에는 상품에 광고효과를 주거나, 특정업체 상품을 과도하게 부각시켜서는 안 된다"며 "이 몇 건의 사례만 봐도 상품노출과 특정업체 부각은 노골적"이라고 지적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46조는 보도 프로그램에서 상품을 소개할 때 ▲합리적 기준이나 객관적 근거 없이 상품을 선정해 광고효과를 주는 내용 ▲특정업체·특정상품을 과도하게 부각시켜 경쟁업체·경쟁상품에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내용 등은 방송해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의원은 "홈쇼핑 광고도, 광고도 아닌 공영방송 KBS의 뉴스"라며 "이걸 가지고 '경제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 그렇게 판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후보자의 경영계획서에 꼭 들어가야 하는 것은 '박민 사장이 망쳐놓은 KBS의 정상화'"라며 "이 프로그램 시정되어야 하지 않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박 후보자는 "사장이 미리 심의위반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려버리면 안 된다"고 말했다. 박 후보자는 "광고성 뉴스라던지 이런 부분은 회사 내에 심의실과 심의규정이 있다"며 "거기서 정상적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 결함에 대해 평가를 하면 그것에 대해서는 사장이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특정 브랜드를 말하면 안 된다고 그렇게 판단력이 있는 분이 이런 판단을 왜 못하냐"며 "후보자는 이런 뉴스 프로그램을 론칭한 박민 사장 체제 KBS에서 뉴스·보도 입간판으로 활동했다. 박민 체제에서 망가진 KBS 보도가 더 무너질까 굉장히 우려스럽다"고 했다.
KBS는 지난 5월 <경제콘서트> 신설을 알리는 보도자료를 내어 "놓치지 말아야 할 경제 정보가 펼쳐진다"고 전했다. KBS는 "경제 전문 뉴스를 신설해 ‘밸류업’에 나선다"며 "기업은 물론 개인과 가계 모두의 가치 제고를 기치로 새롭게 선보이는 '경제콘서트'는 저녁 시간대 직장인과 주부들이 놓치면 안 될 그날의 경제 뉴스들을 콘서트 하듯 다양한 선율에 담아서 들려준다는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