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연합뉴스가 '특별취재팀'을 구성하고 연합뉴스TV 최대주주 변경승인 심사를 앞둔 을지재단 비판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을지재단이 마약·투기 전력의 부도덕한 자본이라는 점, 윤석열 정부의 보도전문채널 민영화가 한꺼번에 진행되고 있다는 점 등은 따져봐야 하는 문제다.  

하지만 연합뉴스가 연합뉴스TV를 종속시켜왔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연합뉴스 사장이 연합뉴스TV 사장을 겸임하면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는 개선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연합뉴스가 '강탈' 같은 표현으로 지면을 사유화한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2023년 11월 20일 오후 2시경 연합뉴스 메인 홈페이지 갈무리
2023년 11월 20일 오후 연합뉴스 메인 홈페이지 갈무리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6일 연합뉴스TV·YTN 최다액출자자 변경승인 심사 기본계획을 의결했다. 을지학원은 연합뉴스TV 지분 30.38%를 보유해 최대주주로 올라선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연합뉴스는 보유 지분상 2대 주주로 밀려났다. 뉴스통신사는 방송법 제8조에 따라 방송사 지분을 30% 이상 소유할 수 없다. 

연합뉴스는 17일부터 '특별취재팀'이 작성한 을지재단 관련 기사를 출고하고 있다. <[영상] 민주 "윤 정권, 연합뉴스TV를 마약사범·갑질투기꾼에 넘기려">(11월 17일), <"마약사범이 방송사 넘본다니"…을지재단 이사장 3천회 투약처방>(11월 19일), <환자위한 돈인데…방송 강탈하려 을지병원 재산포기 "배임소지">(11월 20일) 등이다. 

민주당에 따르면 박준영 을지재단 이사장은 산하 의료법인 소속 의료진을 통해 마약성 진통제 페티딘을 4년여 동안 3161회 처방받은 마약사범이다. 을지병원 인근 부동산을 의약품 납품업체에 팔아 40억 원 넘는 시세차익을 거두는 갑질 투기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에 따르면 을지병원이 지난 8월 을지학원에 연합뉴스TV 주식 60만주(4.97%)를 무상으로 넘겨 배임·의료법 위반 논란이 제기된다. 연합뉴스TV 최대주주로 올라서기 위해 의료법인의 영리행위를 제한하는 의료법을 회피하고, 법인에 손해를 끼치는 '꼼수'를 부렸다는 것이다. 

연합뉴스는 '강탈' 등의 표현으로 을지재단을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는 20일 보도에서 "을지재단이 주식의 '셀프 기증'이라는 편법을 통해 법망을 비웃으며 연합뉴스TV 강탈을 노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연합뉴스는 불공정 협약 문제로 연합뉴스TV 주주와 구성원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연합뉴스TV 사장은 연합뉴스 사장이 겸직하고 있다. 또 연합뉴스는 연합뉴스TV 7명의 이사 중 5명을 임명한다. 연합뉴스TV 주요 보직 간부도 연합뉴스 파견 사원들이 맡고 있다. 

연합뉴스TV가 업무협약을 통해 해마다 연합뉴스에 지급하는 금액이 150억~18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TV 매출 20%로 광고대행 수수료, 연합뉴스TV 영상물저작권 공유, 파견인건비, 협약금 등의 명목이라고 한다. 연합뉴스TV 구성원들의 인건비보다 많은 금액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TV지부는 지난해 이 같은 업무협약을 '불공정 협약'으로 규정하고 성기홍 사장에게 공정가액 기준대로 협약을 맺어달라고 촉구했다. 지난해 을지재단은 같은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지분 추가 확보의 명분으로 삼았다. 연합뉴스TV가 독립적 구조를 못 갖고 있기 때문에 추가 지분 확보에 나서게 됐다는 설명이다. 

방통위도 연합뉴스TV의 독립적 운영을 권고했다. 방통위는 지난 2020년 연합뉴스TV를 재승인하면서 '연합뉴스로부터의 독립성 제고를 위해 연합뉴스TV의 광고 영업을 연합뉴스가 대행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성실히 이행할 것'을 조건으로 붙였다.

또 권고사항으로 ▲소유·경영의 분리를 통한 독립성 강화를 위해 연합뉴스의 대표이사가 연합뉴스TV의 대표이사를 겸직하지 않도록 할 것 ▲연합뉴스로부터 연합뉴스TV로의 기자·PD 직군의 직원 파견을 해소하도록 적극 노력할 것을 부과했다.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 연합뉴스지부에 따르면 성기홍 연합뉴스 사장은 방통위 발표 전까지 을지재단의 연합뉴스TV 지분 확대 사실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지난 16일 연합뉴스지부는 성명에서 "을지학원은 방통위에 대주주변경 승인을 신청하기 전에 이미 관련법 검토를 마쳤으며 방송사업을 추가한 정관 개정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 모든 사안을 사장은 모르고 있었다. 기가 막힐 노릇"이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