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현장 취재 제공을 준비 중인 도쿄전력이 국내 언론사 중 한겨레와 MBC만 배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 문제를 가장 비판적으로 보도해 온 두 언론사만을 콕 집어 제외한 꼴이어서,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며 주장한 투명한 ‘정보 공개’ 약속이 지켜질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20일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일본포린프레스센터(FPCJ)를 통해 21일까지 자국 주재 외신 기자들에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설비 안내 현장 취재를 진행할 예정이며, 관련 신청을 받는다고 공지했다.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 오염수 방류 해저터널 등을 둘러보는 등의 취재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FPCJ는 12일 선정 매체를 통보했다. 그 결과 한국은 6개의 신문·통신사가 신청했는데, 한겨레만 유일하게 탈락했으며 지상파 방송사 3곳 중에는 MBC가 떨어졌다. 앞서 도쿄전력은 지난해 11월과 2월 두 차례 후쿠시마 원전 취재 현장을 제공한 바 있다. 당시 한국 언론사는 1개의 신문사와 방송사만 선정됐으며 이들 언론사는 이번 원전 취재 가능 매체에 포함됐다고 한다.
한겨레가 취재의 형평성 등 선정 기준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질의하자 FPCJ 관계자는 “어떤 언론사를 선정할지는 주최자인 도쿄전력이 결정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는 “도쿄전력에 선정 기준을 물었지만, 20일 오후 현재까지 회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도쿄전력은 개별 언론사에 일일이 선정 기준을 밝히지 않을 방침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12일 윤석열 대통령과 만남에서 ‘일본의 총리로서 해양 방출의 안전성에 대해 만전을 기하면서 한국 국민의 건강이나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방출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면서 “이런 약속을 하면서도 안전성 확인을 위한 정보 공개의 기본인 비판 언론의 현장 접근을 막은 셈”이라고 지적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원안위가 2년 간 일본에서 받은 답변 "오염수 아니다"
- 윤 대통령 지지층 49%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걱정된다"
- "일본 오염수 테러 시동거는데, 윤 정부 북치고 장구쳐"
- 국민 72% "일본 오염수 방류시, 수산물 수입 반대"
- 국민 60% "오염수 시찰단, 결과 신뢰 못해"
- 언론 따돌리기에 여념 없는 오염수 시찰단
- 윤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처리수' 용어 변경 검토
- 환경운동연합 "'한국 시찰단' 파견합의는 립서비스"
- 윤 대통령 "후쿠시마 오염수, 문재인 때문에 일본 설명 안 알려져"
- 국힘, 일본언론에 공동 항의하자는 민주당에 '친일무새'
- 도쿄전력 '오염수 취재 갈라치기'가 소환한 윤 대통령 언론관
- 조선일보 '취재 거절'하게 만든 도쿄전력의 '언론 갈라치기'
- 하태경 "민주당 오염수 선동, 중국 공산당도 너무한다 해"
- "오염수 방류가 건강 지키냐" 반응 자초한 윤 정부
-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가르는 '일본 오염수 방류'
- 지금 여기의 오펜하이머는 누구인가
- 오염수 브리핑 개근 CBS기자가 전하는 항의받은 사연
- "일본 정부 정책 홍보를 왜 KTX에서…신칸센에 배포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