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6개 언론현업단체가 경찰의 MBC 압수수색 시도에 “대한민국 언론자유를 더이상 망가뜨리지 말라”고 규탄에 나섰다. 이들 단체는 윤석열 정권이 '자유'를 강조하면서 행동으로는 헌법적 권리인 언론자유를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30일 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한국PD연합회·방송기자연합회·한국영상기자협회·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등은 공동 성명을 내어 “윤석열 정권이 말하는 자유에 과연 언론자유는 있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이날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 자료를 유출한 혐의로 MBC 임 모 기자의 자택, 차량, 휴대전화, 사무실(MBC 상암동 사옥) 등에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경찰은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와의 대치 끝에 임 기자 사무실 자리를 '현장 확인'했으며 사무실 물품은 압수수색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언론현업단체들은 “해당 사건이 발생한 시점이 1년 이상 지났다"며 "기자 업무가 보통 개인 휴대폰과 전자기기 등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통상적으로 뉴스룸엔 언론사가 보호해야 할 수많은 취재원 정보와 취재관련 정보들이 모인다는 점에서 이번 압수수색은 언론사에 대한 부당한 압박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들은 “수사기관이 언론사를 압수수색할 수 있다는 것은 곧 익명 제보 등 공익적인 목적을 갖는 정보들이 언론사 밖으로 유출되거나, 압수수색에 의한 보도위축 등으로 감시 대상인 국가권력의 의도에 따라 언론이 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압수수색 가능성 자체가 언론 자유를 위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은 지난 1년 동안 외교무대 비속어 파문, 대일외교 등 여러 논란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비판 언론을 공격해 왔다"며 "그 연장선에서 이뤄지는 비상식적 뉴스룸 압수수색 시도는 수사 목적과는 별개의 언론탄압 시도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과 경찰은 집권 이후 추락을 멈추지 않고 있는 대한민국 언론자유를 더이상 망가뜨리지 말라”면서 “입으로는 자유를 닳도록 말하면서 행동으로는 헌법적 기본권인 언론자유를 짓밟는 권력의 횡포에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경찰 MBC 압수수색, '현장 확인'에 그쳐
- 언론노조 MBC본부 "뉴스룸 압수수색은 보복 수사"
- 경찰, MBC 기자 압수수색 실시
- MBC "한동훈 아니었다면 '뉴스룸 압색' 무리수 뒀겠나"
- MBC 압수수색에 제논에 물대는 한동훈
- 여권인사, MBC 압수수색에 "그렇게까지 할 필요 없었다"
- 압수수색 당한 MBC 기자가 밝힌 그날의 '과잉 수사'
- 경찰, 최강욱 압수수색…한동훈 인사청문자료 유출 혐의
- 최강욱·MBC 기자 압수수색에 "언론 감시 무력화 아닌가"
- 경찰, '입사 9개월' 최강욱 신입 비서 휴대폰까지 압수
- 미국의소리 "윤 정권 들어 언론 '명예훼손' 고발 기록적인 증가"
- 누구나의 일이 된 '압수수색 99%' 취재기
- LA타임즈, 윤석열 정권의 MBC 탄압 집중 조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