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9일 ‘가짜뉴스 피해 신고·상담센터(이하 센터)’를 개소했다.
언론재단에 따르면 센터는 허위조작정보로 피해를 입은 국민과 구제기관을 연결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언론재단은 “기존에는 피해자 스스로 구제 방식을 알아내야 했지만, 이제부터는 센터가 피해자와 상담 후 적합한 대응 방안 및 구제기관을 안내해주게 된다”고 설명했다.

센터는 ▲언론중재위원회의 피해상담 및 조정신청 절차 ▲인터넷피해구제 신고 절차 ▲민·형사상 권익구제 관련 법률 지식 및 절차 등을 안내한다. 향후 충분한 상담 데이터가 축적되면 ‘피해 구제 사례집’ ‘대응 매뉴얼’을 발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당 센터를 두고 한국기자협회 편집위원회는 “정부광고를 활용해 언론사를 길들이려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언론재단은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신문법)에 규정된 진흥기관이며 2018년 정부광고법 개정으로 정부광고 대행사업을 독점하고 있다.
기자협회 편집위는 지난달 25일 <[우리의 주장]언론재단에 '가짜뉴스 신고센터' 구축하겠다니>에서 “'가짜뉴스'는 개념이 모호해 어떤 정보가 가짜인지 판별하기 어려운데, 신고를 받고 유형화하겠다니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며 "부정적인 기사는 모조리 가짜뉴스로 변질돼 신고가 쇄도할 것임은 불 보듯 뻔하다”고 밝혔다.
기자협회 편집위는 “언론재단은 언론 보도 피해 구제 기구가 아닐 뿐더러 유해 콘텐츠나 허위 정보 등을 심의하지도 않는다. 언론산업 진흥에 필요한 사업 등을 하는 공공기관"이라며 "언론재단에 가짜뉴스 업무를 맡기는 건 정부광고를 활용해 언론사를 길들이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든다”고 비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언론재단 '가짜뉴스센터'에 "정부광고로 언론 길들이기 의심"
- 언론진흥기관이 '가짜뉴스 유형화한다'는 윤석열 정부
- SNS 선거사범이 가짜뉴스 잡는다는 윤 정부 미디어특위
- 윤 대통령, 4.19 기념식에서도 "가짜뉴스, 민주주의 위협"
- "언론재단, 언론 길들이기 '들러리' 섰나"
- 언론노조 "언론자유 옥죈 윤 정권, 미디어장악 기구 설립"
- 국민통합위 팬덤특위 "유튜버를 언론중재 대상으로"
- 행안부 지원 날개 단 보수단체 팩트체크
- 언론재단 '가짜뉴스 센터', 예산·계획도 없이 급조
- 문체부 장관 교체 이유가 '가짜뉴스·방송좌편향 시정 미흡'
- 문체부 장관은 '가짜뉴스센터 덕' 볼 수 있을까
- 보수단체 '대한민국 30대 가짜뉴스' 망신살
- 언론재단, "'바이든-날리면' 가짜뉴스" 시상식에 3천만원 후원
- 언론재단, 보수언론단체 미디어연대에도 현금 지원
- 언론재단, '로이터저널리즘' 보고서 'MBC 신뢰도 1위' 삭제
- 언론재단 '가짜뉴스센터', 센터장 사라지고 직원 반토막
- 요란했던 윤 정권 가짜뉴스센터는 어디로 갔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