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뉴스9> 앵커 출신인 박영환 전 광주총국장이 ‘수신료 분리징수안이 전국언론노동조합 중심의 KBS 내부 구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영환 전 광주총국장은 현재 재직 중이며 KBS 인재개발원 소속이다.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문재인 정권 공영언론인 블랙리스트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 박영환 전 KBS광주총국장, 오정환 MBC 노동조합 위원장, 황대일 전 연합뉴스 미디어 총괄본부장, 이홍렬 전 YTN보도국장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 시절 공영방송을 장악한 언론노조가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구성원들을 탄압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박영환 전 총국장은 최근 TBS 양대노조가 이강택 사장 퇴진을 촉구한 상황을 언급하며 KBS도 ‘수신료 압박’을 통해 언론노조 중심의 내부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총국장은 “지금 TBS에서 벌어지는 일이 하나의 모티브가 될 것 같다”며 “오세훈 시장 등장 이후 서울시의회가 300억 원 주던 지원금을 내년 6월부터 중단하는 프로세스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총국장은 “그래서 TBS 안의 노조 2개가 여론조사를 했는데, 이강택 사장이 물러나라고 하는 쪽으로 여론이 높게 나타났다. (TBS) 내부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공영언론 블랙리스트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 (사진=미디어스)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공영언론 블랙리스트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 (사진=미디어스)

이어 박 전 총국장은 “KBS 입장에서 수신료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고 소중하다. 수신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없다”면서 “일부 정치권이나 시민단체에서 ‘국민에게 수신료 선택권을 주자’, ‘KBS 너희가 떳떳하면 국민들이 자율적으로 수신료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고 주장하는데, KBS 내부에 상식과 양식을 가진 언론인이 많기에 민주노총 편향으로 구성된 KBS 내부 구조를 바꾸는 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 전 총국장은 국민에게 KBS가 노영방송임을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전 총국장은 “지금 KBS를 보면 보도국장과 취재주간이 민주노총 KBS본부 위원장 출신”이라며 “(언론노조 KBS본부) 노조원도 1000명에서 3000명까지 급증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전 총국장은 “사람들이 KBS를 공영방송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철저하게 노영방송이라는 부분을 국민들에게 많이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영환 전 KBS광주총국장이 2017년 대선후보 KBS 초청토론을 진행하는 모습(사진=KBS캡처)
박영환 전 KBS광주총국장이 2017년 대선후보 KBS 초청토론을 진행하는 모습(사진=KBS캡처)

박 전 총국장은 “몇 년 전부터 페이스북을 통해 노영방송의 문제점을 계속 지적하고 있지만, 여러 중도·보수 언론을 통해 강하게 홍보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 같다”며 “노조가 파업할 때 내세운 슬로건이 ‘권력의 품에서 국민의 품으로’였다. 지금은 노조가 KBS를 장악하고 있으니 ‘언론노조 품에서 국민의 품으로’로 슬로권을 바꿔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박 전 총국장은 “민주노총의 공영언론 장악 문제를 이슈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박 전 총국장과 관련해 지난 2017년 골프접대의혹, 고액 자문료 수령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