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뉴스9> 앵커 출신인 박영환 전 광주총국장이 ‘수신료 분리징수안이 전국언론노동조합 중심의 KBS 내부 구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영환 전 광주총국장은 현재 재직 중이며 KBS 인재개발원 소속이다.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문재인 정권 공영언론인 블랙리스트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 박영환 전 KBS광주총국장, 오정환 MBC 노동조합 위원장, 황대일 전 연합뉴스 미디어 총괄본부장, 이홍렬 전 YTN보도국장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 시절 공영방송을 장악한 언론노조가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구성원들을 탄압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박영환 전 총국장은 최근 TBS 양대노조가 이강택 사장 퇴진을 촉구한 상황을 언급하며 KBS도 ‘수신료 압박’을 통해 언론노조 중심의 내부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총국장은 “지금 TBS에서 벌어지는 일이 하나의 모티브가 될 것 같다”며 “오세훈 시장 등장 이후 서울시의회가 300억 원 주던 지원금을 내년 6월부터 중단하는 프로세스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총국장은 “그래서 TBS 안의 노조 2개가 여론조사를 했는데, 이강택 사장이 물러나라고 하는 쪽으로 여론이 높게 나타났다. (TBS) 내부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전 총국장은 “KBS 입장에서 수신료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고 소중하다. 수신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없다”면서 “일부 정치권이나 시민단체에서 ‘국민에게 수신료 선택권을 주자’, ‘KBS 너희가 떳떳하면 국민들이 자율적으로 수신료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고 주장하는데, KBS 내부에 상식과 양식을 가진 언론인이 많기에 민주노총 편향으로 구성된 KBS 내부 구조를 바꾸는 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 전 총국장은 국민에게 KBS가 노영방송임을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전 총국장은 “지금 KBS를 보면 보도국장과 취재주간이 민주노총 KBS본부 위원장 출신”이라며 “(언론노조 KBS본부) 노조원도 1000명에서 3000명까지 급증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전 총국장은 “사람들이 KBS를 공영방송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철저하게 노영방송이라는 부분을 국민들에게 많이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총국장은 “몇 년 전부터 페이스북을 통해 노영방송의 문제점을 계속 지적하고 있지만, 여러 중도·보수 언론을 통해 강하게 홍보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 같다”며 “노조가 파업할 때 내세운 슬로건이 ‘권력의 품에서 국민의 품으로’였다. 지금은 노조가 KBS를 장악하고 있으니 ‘언론노조 품에서 국민의 품으로’로 슬로권을 바꿔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박 전 총국장은 “민주노총의 공영언론 장악 문제를 이슈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박 전 총국장과 관련해 지난 2017년 골프접대의혹, 고액 자문료 수령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KBS, 박성중 "해외는 수신료 폐지" 팩트체크
- "최근 KBS의 정치적 독립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아"
- TBS 이어 KBS·연합뉴스 공적 재원 손보자는 국힘
- 민주당 의원 77명 "TBS 조례 폐지, 공영미디어 장악 출발점"
- "국민의힘, 수신료 폐지론으로 KBS 길들이기"
- KBS 소수노조 "국민의힘 수신료 성명은 똥볼"
- '언론노조가 방송 장악' 권성동, 과방위원으로
- 민영화 압박에 '발전적 협의' 택한 TBS 양대노조
- 언론노조, 18일 권성동 고소…"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 권성동, 연일 'KBS·MBC 때리기'…기자 질문에 "그만하라"
- "국민의힘은 방송장악 전과 집단"
- "권성동, '언론노조가 KBS·MBC 장악했다'는 근거 제시하라"
- 권성동, KBS 인터뷰서 "언론노조가 KBS·MBC 좌지우지"
- 정청래 과방위원장 "공영방송 수신료 현실화해야"
- 'TV수신료 분리징수' 의견 수렴, 정순신 보도 나비효과일까
- '수신료 분리 징수' 의견 수렴에 "땡윤뉴스 꿈꾸는 모양"
- KBC시사라디오 백운기·장성철 하차…"짐작하는 이유 맞다"
- KBC '시사1번지', '백운기 하차' 이후 조회수 반토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