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성 상납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을 받고 있는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에 대한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 결정이 연기된 가운데, 사실상 징계 수순에 들어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윤리위는 22일 오후 7시부터 국회 본관에서 5시간 동안 이 대표에 대한 징계안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날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회의 종료 후 기자 브리핑에서 “이 대표에 대한 윤리위는 다음달 7일에 진행하기로 했다”며 “징계 여부는 이 대표의 소명을 듣고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 대표 측근인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에 대해 “징계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철근 정무실장 징계사유는 증거인멸 의혹 관련 품위유지 의무 위반이다.

지난해 12월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이 대표가 지난 2013년 7월 박근혜 전 대통령 키즈임을 내세워 성접대를 받았으며, 김 정무실장을 통해 해당 의혹 제보자에게 7억 원 투자각서를 써줘 증거 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힘 윤리위는 지난 4월 21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 대표에 대한 징계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23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김철근 정무실장이 징계를 받게 됐다”며 “종범이 징계를 받으면 주범은 위험해지는 것 아닌가, 이준석 대표의 운명도 위험한 길로 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다.
박 전 원장은 “윤리위가 2주 후에 징계 결정을 발표하겠다는 것은 이준석 대표에게 고문을 가하는 것”이라며 “‘어떤 결단을 하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 ‘2주 후’라고 얘기하는 것은 경고가 아닌가”고 말했다. ‘당 대표를 징계하는 것은 쿠데타’라는 이 대표 지지자들의 주장에 대해 박 전 원장은 “그렇게 보면 안 된다”며 “당 대표지만 자신의 문제가 상정되면 그 회의에서 나가주는 것이 관례다. 당 대표라고 해서 윤리위를 안 할 수는 없다”고 했다.
‘성희롱성 발언 논란’으로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받은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재심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 박 전 원장은 “팩트는 잘 모른다”면서도 “재심 신청은 본인으로서 정당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당에서 빨리 재심 결과를 발표해 수습의 길로 가야지 싸움의 길로 가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박 전 원장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대통령의 언어를 쓰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박 전 원장은 “도어스테핑에서도 (윤 대통령의 발언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번에 원전 업체에 가서 ‘지난 5년간 바보가 됐다’는 말은 하면 안 됐다. 대통령의 언어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또 박 전 원장은 “영부인의 공적 관리도 안 되고 있다. 인사는 또 어떻고, 경찰에서는 지금 소동이 벌어졌지 않냐”며 “1991년도에 내무부에서 경찰청이 독립해 31년간 경찰이 발전해 왔고, 정치적 중립도 상당히 잘 지키고 있는데 이걸 다시 과거로 돌려 행안부에 경찰국을 신설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거기다가 또 인사 문제가 있기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은 과거만 탓하지 말고 당신이 똑똑한 짓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