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성 상납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을 받고 있는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에 대한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 결정이 연기된 가운데, 사실상 징계 수순에 들어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윤리위는 22일 오후 7시부터 국회 본관에서 5시간 동안 이 대표에 대한 징계안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날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회의 종료 후 기자 브리핑에서 “이 대표에 대한 윤리위는 다음달 7일에 진행하기로 했다”며 “징계 여부는 이 대표의 소명을 듣고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 대표 측근인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에 대해 “징계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철근 정무실장 징계사유는 증거인멸 의혹 관련 품위유지 의무 위반이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비공개회의 현안 논의 문제를 놓고 배현진 최고위원과 논쟁을 벌인 뒤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비공개회의 현안 논의 문제를 놓고 배현진 최고위원과 논쟁을 벌인 뒤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2월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이 대표가 지난 2013년 7월 박근혜 전 대통령 키즈임을 내세워 성접대를 받았으며, 김 정무실장을 통해 해당 의혹 제보자에게 7억 원 투자각서를 써줘 증거 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힘 윤리위는 지난 4월 21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 대표에 대한 징계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23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김철근 정무실장이 징계를 받게 됐다”며 “종범이 징계를 받으면 주범은 위험해지는 것 아닌가, 이준석 대표의 운명도 위험한 길로 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다. 

박 전 원장은 “윤리위가 2주 후에 징계 결정을 발표하겠다는 것은 이준석 대표에게 고문을 가하는 것”이라며 “‘어떤 결단을 하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 ‘2주 후’라고 얘기하는 것은 경고가 아닌가”고 말했다. ‘당 대표를 징계하는 것은 쿠데타’라는 이 대표 지지자들의 주장에 대해 박 전 원장은 “그렇게 보면 안 된다”며 “당 대표지만 자신의 문제가 상정되면 그 회의에서 나가주는 것이 관례다. 당 대표라고 해서 윤리위를 안 할 수는 없다”고 했다.

‘성희롱성 발언 논란’으로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받은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재심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 박 전 원장은 “팩트는 잘 모른다”면서도 “재심 신청은 본인으로서 정당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당에서 빨리 재심 결과를 발표해 수습의 길로 가야지 싸움의 길로 가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박 전 원장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대통령의 언어를 쓰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박 전 원장은 “도어스테핑에서도 (윤 대통령의 발언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번에 원전 업체에 가서 ‘지난 5년간 바보가 됐다’는 말은 하면 안 됐다. 대통령의 언어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또 박 전 원장은 “영부인의 공적 관리도 안 되고 있다. 인사는 또 어떻고, 경찰에서는 지금 소동이 벌어졌지 않냐”며 “1991년도에 내무부에서 경찰청이 독립해 31년간 경찰이 발전해 왔고, 정치적 중립도 상당히 잘 지키고 있는데 이걸 다시 과거로 돌려 행안부에 경찰국을 신설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거기다가 또 인사 문제가 있기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은 과거만 탓하지 말고 당신이 똑똑한 짓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