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경영진이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의 퇴진운동으로 인해 5명의 사장이 교체됐다”는 허위 사실로 특정 노조를 악마화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박장범 사장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출석해 '김인규, 길환영, 조대현, 고대영, 박민 전 사장이 중도 해임됐다'는 취지로 말해 빈축을 샀다. 

언론노조 KBS본부 창립 이후 해임된 사장은 3명이며 이 중 한 명은 윤석열 정부에서 해임된 김의철 전 사장이다. 박민 전 사장은 보궐 임기를 마치고 연임에 도전했으나 당시 경쟁자인 박장범 사장에게 밀려 낙마했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주희 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사진=KBS 유튜브 영상 갈무리)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주희 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사진=KBS 유튜브 영상 갈무리)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KBS 경영진이 언론노조 KBS본부에 대한 성명에서 허위 사실을 적시했다고 비판했다. 20일 KBS 경영진 일동은 성명 <본부노조는 즉각 ‘회사 흔들기’를 중단하십시오>에서 “그동안 본부노조가 퇴진을 주장하고 결과적으로 교체된 사장이 자그마치 다섯 명이나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KBS본부 노조 창립 이후 중도 해임된 사장은 길환영·고대영·김의철 전 사장 3명이다. 김의철 전 사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해임됐으며 최근 '해임 취소 처분' 판결이 확정됐다. 

이 의원은 “2009년 12월 본부 노조 창립 이후 권한대행을 제외한 KBS 사장은 박장범 사장을 포함해 모두 8명에 불과하고, 임기를 못 채운 사장은 3명뿐”이라며 “본부 노조 때문에 5명의 사장이 퇴진했다는 주장도 상당히 무논리인데, 그 자체가 허위 사실이다. 어떤 기준으로 (5명이라고) 성명에 썼는지 잘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또 경영진이 노사 문제가 아닌 것에 대해 특정 노조를 비판하는 내용을 회사 공식 입장으로 발표한 것도 의아스럽다”면서 참고인으로 출석한 박상현 KBS본부장에게 입장을 물었다. 

박 본부장은 “길환영 사장 해임 당시에는 세월호 참사 때로, KBS도 오보에서 자유롭지 않았다”며 “그때 KBS본부뿐 아니라 사내의 다른 노조도 길환영 사장 퇴진을 요구했다. 고대영 사장의 경우도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노조도 고대영 퇴진을 걸고 파업을 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사장 퇴진 운동을) KBS본부 노조가 단독으로 꾸민 일처럼 했다는 부분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면서 “박장범 사장 스스로 자신의 임기 보장을 강변하려고 (경영진 성명서를 낸 것)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주희 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사진=KBS 유튜브 영상 갈무리)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주희 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사진=KBS 유튜브 영상 갈무리)

최민희 과방위원장이 ‘경영진 성명서에 적시된 ‘5명이 누구냐’고 묻자 박 사장은 “확인해서 말씀드리겠다”는 답변을 반복했다. 그러자 최 과방위원장은 “과장해서 썼다. (성명서 내용이) 틀렸다고 인정하면 된다”며 “이거 확인하는 게 힘든 일인가. KBS 사장이 한 100명 되나”라고 따져물었다. 

이에 박 사장이 “김인규, 길환영, 조대현, 고대영, 박민 전 사장으로 언급된다”고 말하자 최 위원장은 “전 국민 상대로 장난하나. 길환영 사장은 세월호 가족들의(퇴진 요구로) 결국 박근혜 대통령이 그만두라고 했는데 왜 KBS본부 노조를 끌어들이냐, 김인규 사장은 안 쫓겨 났는데, 경영진이 버젓이 거짓말을 써놓고 답변까지 거짓말로 하면 어떡하냐”고 질타했다. 

최 위원장이 “박민 전 사장도 임기를 마치고 나갔다”면서 “그냥 잘못을 인정하고 넘어가라”고 말하자 박 사장은 “(사실관계를)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했다. 

앞선 질의에서도 박 사장의 ‘거짓 답변’ 논란이 불거졌다. 박 사장이 '사장 후보자 시절에 통합징수가 가장 중요한 타개책이었다'고 말하자 ‘통합징수법’을 대표 발의했던 김현 민주당 의원은 “그렇게 얘기하지 않았다”고 바로잡았다. 

김 의원은 “‘모바일 TV 수신료 징수 추진’ 등이 경영계획서에 들어있던 것이다. 통합의 'ㅌ'도 안 들어가 있었다. 박 사장은 숟가락을 얹은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통합징수법에) 거부권을 행사할 때 부당하다고 주장한 바 있냐”고 비판했다.

최 위원장이 '왜 거짓말 했나'라고 지적하자 박 사장은 "경영계획서에 넣은 줄 알았다. 제 착오"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