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전 SNS에 올린 ‘숙청·혁명’ 글에 대해 오해했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단락됐다.

그러나 한국-미국 극우 네트워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회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는 외교 전문가의 우려가 나온다.

25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 도중 함께 웃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25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 도중 함께 웃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부 1차관을 지낸 최종건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6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롤러코스터 같았다”고 총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직전 한국을 비난하는 글을 올리면서 긴장감이 돌았지만 ‘오해’로 정리됐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 시간) 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는 글을 게재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런 상황에는 거기서 사업을 할 수 없다”고 엄포를 놨다. 

정상회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해였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SNS 글에 대한 기자의 질의에 “최근 한국 새 정부가 교회에 대한 공격적인 압수수색을 했다고 들었다"며 "미군기지에 들어가 정보를 수집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지금 대한민국은 친위 쿠데타로 인한 혼란이 극복된 지 얼마 안 된 상태고 국회가 주도한 특검에 의해서 사실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미군을 직접 수사한 게 아니라 그 부대 안에 있는 한국군 통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했나를 확인한 것 같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저 농담”이라고 상황을 정리한 뒤 “오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검이 정신 이상자 잭 스미스 아니냐”고 언급하자 배석해 있던 JD 밴스 부통령,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웃음을 터뜨렸다. 잭 스미스는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특별검사로 2020년 대선 패배 뒤집기 시도, 2021년 1월 퇴임 당시 기밀문서의 불법 반출 혐의 등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기소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하자 기소를 포기했다.

개신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국가비상기도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와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개신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국가비상기도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와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최 교수는 “생각보다 극우 네트워크, 그러니까 대한민국 내에 존재하는 극우 네트워크하고 미국 내에 존재하는 극우 네트워크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많이 그리고 촘촘히 연결되어 있어서 미국의 대통령한테까지 이상한 정보가 흘러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라며 “오해로 풀려서 다행이지만 오해의 근원에 대해서는 한번 짚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진짜 (SNS 글대로) 믿었다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존중하지 않는 미국 대통령을 만나야 하는 우리의 상황에 대해 약간의 자괴감도 들었다”고 했다. 

최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한민국 상황에 대해 보고를 받지 않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안 읽잖나. CIA나 미 국무부가 정상회담 전 브리핑을 할 텐데, 그래서 극우 네트워크 그룹이 일종의 뒷문이나 사이드로 미국 대통령에게 잘못된 정보를 주는 것 아닌지(우려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오해로 풀려서 다행이고, 그 과정에 이 대통령의 역할이 있었지만, 오해의 근원이 무엇인지 한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이 피스메이커를 하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를 하겠다”고 말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큰 진전을 함께 이뤄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화답한 것과 관련해 “긍정적인 신호로 우리가 접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현실화하는 것은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의 실력”이라면서 “북한이 원하는 것을 선제적으로 줘야 할지 모른다. 한미연합훈련이나, 한미일 공조 압박에 대한 입장을 줘야만 (북한이 대화에)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 교수는 ‘미국과 북한이 물밑 협상 중일 수 있나’라는 질문에 “제가 아는 한 없다”면서 “한반도 평화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이 여전히 있고, 우리가 리바이벌 시킨 것이(긍정적)”이라고 했다.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유튜브 방송화면 갈무리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유튜브 방송화면 갈무리

한편 외신들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좋은 분위기로 마무리된 것에 대해 이 대통령의 노력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고 위협한 뒤 이 대통령과 회담했지만 긴장감을 피했다”며 "이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 리모델링, 평화중재 노력 등에 대해 칭찬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웃게 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중에 이 대통령에게 '습격'에 대해 추궁했지만 이 대통령이 설명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오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며 “이는 이 대통령의 노력의 결실”이라고 했다. AP 통신은 “적대적인 회담 가능성은 이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을 향해 칭찬을 쏟아내면서 사라졌다"며 "이날 우호적인 모습은 세계 정상들이 트럼프와의 과거 회담에서 교훈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영국 BBC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올 초 경험했던 것처럼 많은 정상들은 백악관 집무실에 들어설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확신하지 못한다"며 "이 대통령은 그런 운명을 피했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