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서울시가 위기 상황에 놓인 10대 여성 청소년을 지원해온 시립 십대여성건강센터 운영을 종료하겠다고 밝히자 센터 실무자들이 ‘공공 책임의 포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립 십대여성건강센터 ‘나는 봄’ 실무자들에 따르면 지난 5월 12일 서울시는 오는 7월 4일 운영을 종료한다고 통보했다. 서울시는 십대여성건강센터 수탁 운영법인과의 재위탁이 종료된 후 다른 위탁법인을 찾기 어려운 점, 다른 시설과의 기능 중복으로 재편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유로 내세웠다. 

20일 게재된 나는 봄 운영 종료 안내문 갈무리 
20일 게재된 나는 봄 운영 종료 안내문 갈무리 

십대여성건강센터는 가족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위기 청소년을 위한 의료 특화 기관이다. 2013년 개소 이후 성매매, 가출, 임신 등 고위험 상황에 놓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무료 의료 진료·복지·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2022년부터 2025년 4월까지 총 936명의 청소년이 건강지원을 받았다.

지난 14일 센터 실무자들은 ‘서울시 민간위탁시설 여자청소년건강센터 실무자 일동’ 명의의 성명을 내고 운영 종료 반대 서명운동에 나섰다. 센터 실무자들은 “일방적·졸속적 민간위탁 재조정(‘중복지원 기능통합’ 명분)으로 인해 2025년 7월 4일부로 전면 폐쇄 위기에 놓였다”며 “이는 위기 십대여성의 건강권과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센터 실무자들은 서울시가 남은 기간 동안 과도한 행정 이관 업무를 지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센터 실무자들은 “현재, 사업종료까지 행정적 업무가 가능한 일수는 38일이지만, 그 기간 안에 ‘사례관리 전환계획 수립, 민감 개인정보 이관·보호 조치, 연계 기관과의 조율을 해내라고 지시했다”며 “이는 이용자의 안전과 종사자의 노동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서울시는 사업의 효율화를 명분삼아 필수기능이 파탄나는 방법으로 여러 위기십대여성지원시설을 폐쇄하며, 통합하고 있다”며 “위기의 순간에 필요한 보호와 지원의 안전망을 해체하는 것은 공공 책임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센터 실무자들은 서울시에 ▲운영 종료 즉각 철회 ▲조례, 지침에 따른 절차 이행 ▲이용자 보호 및 종사자 고용승계 대책 마련 ▲위기 청소년의 건강권·인권 보호를 요구했다. 또 시민을 향해 “위기 십대여성 건강을 위한 마지막 공공기관이 사라지기 전에 행동해달라”고 했다. 20일 현재 시민들의 서명 참여(☞바로가기)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19일 해명자료를 내고 “내년 1월 기존 십대여성 건강센터 기능에 온라인 상담, 긴급구조 등을 담은 신규 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졸속행정’이라는 비판에 대해 “졸속으로 결정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운영 종료는 해당 시설의 수탁법인이 2025년 3월 24일 재위탁 종결 의사를 통보함에 따라 서울시가 위탁 운영 지속 여부 검토 후, 수탁법인과 협의해 위탁 만료 시기에 맞춰 운영 종료하기로 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