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내란수괴'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한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위원장이 자신의 출근길을 막는 방해하는 것은 "내란 행위"라고 주장했다. 

10일 박선영 위원장은 자신의 SNS에 "오늘 저는 진화위 위원장 직에 취임한다. 아침에 국립현충원에서 참배한 후 진화위로 이동해 취임식을 할 예정"이라며 "그러나 이런 취임 과정이 순탄치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민변출신의 진화위 사무처장은 저의 취임에 반대하며 어제 공개적으로 사의를 표했고, 국가폭력피해범국민연대라는 단체는 '헌정유린, 반란수괴로서 자격도 없는 자가 단행한 인사'라며 저의 출근을 저지하는 투쟁을 벌이겠다고 한다"고 말했다. 

박선영 신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진실화해위 제공)
박선영 신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진실화해위 제공)

박선영 위원장은 "자신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국가의 독립조사위원장직 취임을 거부하고 출근저지 '투쟁'을 벌이는 것 자체가 '헌정유린'"이라며 "탄핵이 부결된 지금, 대한민국 대통령은 윤석열이다.(중략)인사를 투쟁의 목적으로 삼아 법치주의를 말살하려 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내란행위"라고 말했다. 

박선영 위원장은 "'국가폭력피해자'들이라고 공인에 대한 폭력이 정당화되지 않는다. 언어폭력도 폭력"이라며 "밟을수록, 때릴수록, 강해지는 자,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실천하고자 하는 자가 바로 저, 박선영 신임 진화위원장"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내란 사태 사흘인 지난 6일 박선영 전 의원을 진실화해위원장에 임명했다.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두고 인사권을 행사했다. 한겨레는 이와 관련해 박영선 위원장이 정형식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처형으로 확인됐다며 "탄핵심판을 앞둔 인사라는 해석이 나왔다"고 [단독] 보도했다.

한겨레는 "현재 6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헌재는 ‘중도·보수’ 4명과 ‘진보’ 2명으로 분류된다"며 "이 중 윤 대통령이 지명한 정 재판관은 보수 성향이 강한 인사로 분류되긴 하나, 탄핵심판에 앞서 ‘굳히기용’ 사전 포석을 둔 것이 아니냐"고 분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정형식 헌법재판소 재판관(오른쪽)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왼쪽)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정형식 헌법재판소 재판관(오른쪽)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왼쪽)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박선영 위원장은 한겨레 보도에 대해 "참을 수 없는 한겨레의 가벼움. 또는 억지"라며 "한국사회는 부부지간, 부모자식지간에도 이념과 신념이 달라 갈등을 빚는데 제부와 처형 사이에 무슨 이념이나 신념의 고리가 있다고, 탄핵에 갖다붙이나. 한겨레는 엿가락인가"라고 반박했다. 

정영훈 진실화해위 조사2국장은 10일 한겨레 칼럼 <‘내란행위 동조’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 임명 철회해야>에서 "윤석열은 박선영 위원장을 임명하던 6일 당시 내란수괴범으로 즉시 체포·수사 대상이자 국회의 탄핵소추 대상이었다"며 "윤석열은 내란에 실패하고 상당한 궁지에 몰려 정신이 없었을 시기였다. 그런 상황에서 진실화해위원장 임명을 강행했다.(중략)‘박선영 위원장이 현 헌법재판관의 처형’이라는 뉴스를 보고 윤석열의 탄핵을 대비한 ‘방탄 인사’였음을 쉽게 이해하였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