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가 박민 사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업무추진비를 늘렸다는 MBC 보도에 대해 “매우 악의적 기사”라며 법적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9일 MBC ‘뉴스데스크’는 기사 <직원들에게 '명퇴'하라던 박민 KBS 사장‥간부들 업추비는 대폭 증액>에서 “KBS의 수익 감소가 현실화되자, 박민 KBS 사장은 희망퇴직 같은 인건비 삭감 대책을 앞세워 직원들의 희생을 요구했다”며 “정작 본인을 비롯한 간부들의 업무추진비는 대폭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MBC는 “직원들에게 허리띠를 졸라매라던 박 사장, 정작 자신을 비롯한 고위 간부들의 업무추진비 한도는 크게 늘렸다”면서 “기존 월 240만 원이었던 사장 업추비 한도는 올해 들어 박 사장 취임 한 달여 만에 320만 원으로 33% 급증했다”고 전했다.

KBS는 10일 입장문을 내어 “MBC는 보도를 통해 KBS 간부들이 업무추진비 인상을 통해 마치 사적 이익을 챙기려 한다는 인상을 주었다”며 “명백히 KBS 간부들의 명예를 훼손하려 한 의도를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악의적인 MBC 보도에 대해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KBS는 “박민 사장 취임 당시 KBS는 수신료 분리고지 등에 대응하기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외 업무를 해야 했고 대내적으로도 직원 독려 등 원활한 부서 활동이 필요했다”면서 “내부에서 업무추진비의 정상화 요구가 있었다. 이에 따라 2024 1월부터 당초 한도의 80%로 복원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KBS는 “경영진과 간부들의 업무추진비 1년 추가 소요 금액은 8억여 원”이라며 “현금이 전혀 없는 업무추진비는 법인카드로만 사용하는 만큼 사용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되며 감사를 통해 엄격히 통제된다. 대외 업무는 물론 간부들이 직원과의 소통을 위한 회식 등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사적 이익을 위해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KBS는 지난해 11월부터 경영진의 자진 월급 반납이 10월까지 진행될 경우 총 33억여 원이 모인다면서 이 금액들은 명예퇴직 비용 등에 사용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KBS는 MBC 본사 사장과 간부진의 업추비 금액은 KBS의 2배가 넘는다고 강조했다. KBS는 “MBC 서울 본사 사장의 1년 업무추진비는 8천만 원 이상, 본부장급은 5천만 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는 KBS 사장, 본부장급의 2배가 훨씬 넘는 금액이다. 국장급 간부들의 업무추진비 기준원가(2022년 기준)를 비교해 보면 MBC는 KBS보다 50% 더 많고 부장급 간부들의 업무추진비 역시 MBC가 더 많다”고 말했다.
또 KBS는 “MBC는 지난 2022년 박성제 당시 사장과 최승호 전 사장 등 일부 임원진이 3년 동안 업무추진비 명목으로 20억 원의 현금을 지급받은 사실이 드러나 국세청으로부터 추징당하는 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면서 “당시 MBC는 경영진들이 회사 안팎에 내는 경조사비 등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20년 이상 시행해 온 제도라고 시인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KBS, 명퇴·무급휴직 난리통에 간부 업추비 대폭 인상
- "'연임설' 박민 불신임 98.75%, 공영방송 KBS 파괴 덕이죠"
- KBS사장, "BBC 수신료 폐지" 가짜뉴스로 구조조정 밑밥
- "수신료 통합징수 요구하기에는 부족하다"는 KBS 사장
- "정리해고 전제 아니다" 말발 안 통하는 KBS경영진…왜
- 바람 잘 날 없는 KBS, '무급휴직' 추진…"박민 연임용인가"
- KBS, 1분기 경영적자 455억…광고 목표액 165억 마이너스
- 정세진·김원장·박종훈 등 KBS 간판 언론인 떠난다
- KBS 특별명예·희망퇴직 신청자 87명
- KBS, 특별명예·희망퇴직 실시
- KBS, '팀장급 이상 직위 임금반납' 공식화
- "노동부, '방송장악' 공범 아니라면 KBS 특별근로감독 나서라"
- KBS경영진, 수신료 분리징수 앞세워 "이르면 12월부터 명퇴"
- "박민의 명퇴 확대 추진, KBS 박살내기 명확"
- KBS 인력 감축 본격화되나…명퇴 확대 추진
- KBS 뉴스룸국장 "MBC 공격 참기 힘들다" 맞대응 지시했다 '철회'
- MBC "공적재원 의존하는 KBS 비판보도는 당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