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건희 일가 땅 특혜 의혹이 일고 있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과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정부 용역 의뢰를 받은 설계업체 ‘동해종합기술공사’가 변경 제안자라고 밝혔다. ‘양평군’이 종점 변경 제안자라는 입장을 밝혀 온 국토부가 설명을 번복한 것이다. 야당에서 “대한민국 국책사업안을 설계사가 짜는 게 말이 되나”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동해종합기술공사는 사이트가 마비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10일 국토부는 브리핑을 열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국토부는 '대안노선(강상면 종점)이 원안(양서면 종점)보다 경제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백지화로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는 9일 경기도 양평군청 근처에 이 사업과 관련한 입장을 담은 플래카드가 내걸려 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백지화로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는 9일 경기도 양평군청 근처에 이 사업과 관련한 입장을 담은 플래카드가 내걸려 있다.(사진=연합뉴스)

하지만 ▲강상면 종점안이 처음 제시된 시점은 윤석열 정부 출범 시점인 지난해 5월이라는 점 ▲지난 6년 동안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노선에 이견이 없었다는 점 ▲강상면 종점안 제시 주체가 양평군이 아닌 설계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라는 점 등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또 국토부는 대안노선 종점에 김건희 여사 일가 땅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 시점이 지난달 29일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 땅은 앞서 수사기관과 정치권에서 여러 차례 거론됐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 인터뷰에서 “대한민국 국책사업을 설계사가 안을 짠다는 게 말이 되냐”면서 “그리고 그런 문제에 대해 주민 여론을 반드시 거치도록 돼 있지 않나. 지금 어제(10일) 국토부 해명을 보더라도 절차를 어긴 건 맞잖나”라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국토부의 선의를 100% 믿는다 하더라도 그 과정 자체가 과거의 다른 고속도로 변경 절차와 다르다는 건 분명히 인정해야 하는 것 아니겠나”라며 “그러면 야당이 ‘왜 다른 고속도로 변경과 다른 절차를 거쳤나’라고 의혹 제기하는 게 당연하잖나. 그런 측면에서 (국토부가) 변경 과정에서 생긴 여러 가지 국민적 의혹을 설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보는데, 전날 설명으로는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더라”라고 말했다.

11일 트래픽 초과로 홈페이지가 마비된 '동해종합기술공사' 홈페이지 갈무리 
11일 트래픽 초과로 홈페이지가 마비된 '동해종합기술공사' 홈페이지 갈무리 

우 의원은 “이 집권 세력은 무슨 문제만 발생하면 전부 야당, 상대방 탓하는 고질병이 있다”며 “국토부에서 ‘변경안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 이런 얘기를 하는데 그러면 애초에 설계를 잘못한 거 아니냐”고 따졌다. 우 의원은 “야당이 왜 이런 식으로 변경을 만들어왔냐‘고 물었을 때 ‘의심하니까 화가 난다’ ‘그래서 백지화하겠다’ 이렇게 나오는 건 너무 감정적이고 즉흥적이지 않냐”며 “정말 이 정권은 엉망이다. 국책사업을 야당이 문제제기 한다고 다 취소해버리는 게 집권세력의 책임 있는 태도냐”고 따져 물었다.

한편, 국토부가 고속도로 종점 변경 제안자라고 밝힌 동해종합공사의 홈페이지는 11일 트래픽 초과로 반나절 동안 접속이 불가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