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시청자위원회가 10.29 이태원 참사 기자회견 보도에서 모자이크가 사용된 것은 과도했다고 지적했다. KBS는 ‘유가족의 명시적인 허락이 없어 모자이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난 15일 열린 KBS 시청자위원회에서 김소형 위원은 “지난 11월 22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 입장발표 기자회견 보도에서 희생자 사진을 흐림처리한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기자회견을 주최한 민변은 당시 유가족의 얼굴과 영정 사진에 모자이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공지했다고 밝히고 있다"며 "무엇보다 기자회견 당사자인 유족은 희생자를 알리고 공식적으로 추모하기 위해 사진과 이름을 공개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22일 KBS 뉴스9 방송화면 갈무리
지난달 22일 KBS 뉴스9 방송화면 갈무리

김 위원은 “사진 흐림처리 목적은 개인의 신상을 보호하거나 선정성·폭력성을 감추기 위한 것인데 KBS를 비롯한 방송사들이 흐림처리한 것은 본래 목적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며 “또 언론의 과도한 자기검열임과 동시에 피해자 신상을 제공하지 않는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와 다르지 않다는 비판이 있다. 유족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채 기계적으로 재난보도준칙을 따르지 않았을까 하는 우려도 있는데 공식적인 설명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현석 KBS 통합뉴스룸 국장은 “약간 오해가 있는데, 당시 취재기자가 희생자 사진 사용이 가능하냐고 전화로 확인했더니 ‘가능할 것 같기는 한데 명시적으로 유족의 허가를 받지 않았다’는 답변을 민변 측에서 했다고 기자는 기억하고 있다”며 “명시적인 허락을 안 받은 상태이기에 일단 흐림처리를 했다는 것이 제작진 의견”이라고 말했다. 김 국장은 “일부 단체가 지적하듯이 무책임하게 정부처럼 (대응을) 했다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조금 지나치게 조심했다는 평가는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서울 여의도 KBS 사옥 (사진=KBS)
서울 여의도 KBS 사옥 (사진=KBS)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부각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지미 위원은 “KBS뿐 아니라 노동계 파업을 바라보는 우리 언론의 시선이 파업으로 인한 피해, 시민 불편을 강조하는 보도 태도가 있다”며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KBS <뉴스9> 보도도 유사하지 않았나는 아쉬움이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안전운임제가 왜 사업자라고 하는 화물운송사업자에게 적용돼야 하는지 일반 시민들은 모르는 상황에서 안전운임제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보도가 있었으면 좋겠다”면서 “(KBS) 보도의 핵심은 물류 차질 이런 것이었다. 화물연대 파업을 바라보는 KBS 뉴스 시선 자체가 정부 혹은 경영계의 입장에 너무 경도돼 있는 것 아닌가는 느낌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현석 KBS 통합뉴스룸 국장은 “그런 느낌을 갖게 했다는 것은 저희가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라면서 “22일 안전운임제가 무엇이고, 그것이 진짜 교통사고를 줄였는지 등에 대한 정부의 분석을 소개했고,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이미 보도했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피해’를 얘기하는 것에 파업이 진행되고 국가 경제가 힘드니 빨리 협상 타결을 촉구하는 역할도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래서 ‘피해’를 얘기하면 안 되는 것이냐에 있어 조금 더 고민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국장은 “편집회의를 할 때 이 부분에 대해 토론을 많이 했다”면서 “어쨌든 파업이나 갈등 상황에 대해 좀 더 균형잡힌 보도를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