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비국악인이 국립국악원장을 맡은 것은 권위주의 정부 때나 있던 일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건희 황제 관람 위증으로 사과했던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이 국립국악원장에 지원해 ‘알박기 인사’ 논란이 한창이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전 국악원장과의 면담에서 ‘예술가는 예술만 하면 되지 행정을 뭐하러 하냐’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립국악원 현안 비상대책협의회' 대표를 맡고 있는 윤미용 전 국악원장은 2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국립국악원이 개원한 지 74년 정도 됐다”면서 “그동안 국악원장에 국악인이 임명되던 제도가 잘 정착됐다. 그런데 갑자기 지난해 연말 1급 공무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국악원장 응모자격이 바뀌는 바람에 많은 국악인들이 사이에서 상당히 논란 상황이고, 대책을 강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민간 전문가만 지원 가능했던 국립국악원장직이 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행정직 공무원도 응모할 수 있도 변경됐다. 이런 와중에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이 국악원장 공모에 지원해 ‘알박기’ 인사라는 비판이 국악계에서 나오고 있다.
유 실장은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을 지냈으며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씨의 KTV 무관중 국악 공연 관람 논란과 관련해 거짓 해명으로 사과한 전력이 있다. 국악원은 지난해 6월 김영운 전 원장이 퇴임한 후 강대금 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윤 전 원장은 ‘비국악인이 국악원장에 임명되는 것은 권위주의 정부 시절에 있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윤 전 원장은 “1980년대 초에 흔히 말하는 권위주의 시대 때 세 분 정도 문화부 국장급에서 국악원장을 수행하고 나간 경우가 있었다”면서 “그분들은 국악을 잘 모르니 조용히 있다가 나가신 분도 있고, 어떤 분은 국악원 기강이 해이해졌다며 기강을 잡다가 나가시는 분도 있었다”고 전했다.
윤 전 원장은 행정직 출신 국악원장의 가장 큰 문제가 ‘국악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이라면서 “국립예술단 단원들은 공연 전후로 밤 늦게까지 연습하는 경우가 있지만 보통 오전 10시에 출근해 연습, 공연 준비를 하다 보통 오후 3시에 퇴근한다.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근무하는 것에 익숙한 공무원들은 이런 부분을 상당히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윤 전 원장은 ‘국악원장 응모 자격 개정에 정치적 배경이 작용했다고 보나’라는 질문에 “이번 사태가 벌어진 이후 전임 원장과 의논을 했는데, ‘이해가 안 가는 일’이라고(입을 모았다)”고 말했다. 윤 전 원장은 “지난해 6월 전임 원장이 퇴직하고, 곧바로 응모 작업이 이뤄져서 최종 후보자들까지 선정했는데 무산됐다”면서 “그리고 나서 응모 자격에 1급 행정직도 (지원할 수 있게) 바뀐 것이다. 왜 하필 국악원 같은 전문성이 필요한 기관을 집은 것인지 의문”이라고 했다. 윤 전 원장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어원, 국립도서관 이런 곳도 전문가가 개방형으로 오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윤 전 원장은 ‘특정인을 원장으로 앉히려는 추정이 가능한 거 아니냐’는 질문에 “소문은 무성했다”면서 “그런데 정말 1급 행정직이 국악원장으로 오는 것 아닌가 해서 많은 국악인들이 놀랐다.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전 원장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면담에서 ‘기구가 확장되니 공무원이 원장이면 예산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지 않겠냐’ ‘예술가는 예술만 하면 되지 행정을 뭐하러 하냐’ 등의 발언을 했다면서 “그래서 제가 ‘어떻게 장관님이 국악인의 마음을 그렇게 아프게 하시느냐‘(고 했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