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영국 정부가 보리스 존슨 전 총리 시절 추진했던 ‘채널4 상업화’ 계획을 철회했다. 영국 문화부 장관은 채널4에 프로그램 제작 기능을 부여하고 융자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KBS 공영미디어연구소가 지난달 31일 발간한 해외방송정보 2월호에 실린 <英 정부, 채널4 상업화 계획 철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영국 정부는 2019년부터 추진된 채널4 상업화 계획을 전면 철회했다. 채널4는 BBC, ITV, 채널5 등과 함께 영국 공영방송 채널로 꼽힌다.

채널4 상업화는 2019년 보리스 존슨 총리 재임 시절 적극적으로 추진됐다. 채널4는 수익 구조가 외부 영향에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채널4는 매출 90%를 TV광고에서 창출하고 있으며 TV 프로그램 제작부서가 없어 모든 프로그램을 외주제작사를 통해 수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업화 결정은 정치적 목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집권 여당인 보수당에 비판적인 방송 내용이 많은 채널4를 봉쇄하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다. 실제로 보수당은 채널4 뉴스가 편향적이라며 불편한 감정을 감추지 않았다. 영국 미디어 산업 전문가와 학자들은 채널4 상업화 결정을 거세게 비판하기도 했다.
미셀 도네란 영국 문화부 장관이 발표한 지속 가능성 강화 계획의 골자는 채널4가 자체 제작부서를 보유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한다는 내용이다. 제작부서가 없는 채널4는 콘텐츠 품질에 따라 수익 편차가 크다. 또 최근 콘텐츠 외주 비용이 상승하면서 채널4 지출이 커지고 있다. 공영미디어연구소는 “자체 제작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면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또 문화부는 채널4의 융자 한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채널4는 관련 법에 따라 2억 파운드(약 3,038억 원) 한도 내에서 융자를 실행할 수 있다. 해당 제도는 자율적으로 융자 실행할 수 있는 사기업과 비교해 매우 불리한 규제라는 지적을 받았다. 공영미디어연구소는 “융자 한도가 일부라도 확대된다면 콘텐츠 비용 상승으로 인해 콘텐츠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채널4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채널4는 ‘기술 교육’과 리즈(Leeds), 브리스톨(Bristol), 글래스고(glasgow) 등에 위치한 지역본부 투자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런던 외 지역의 직원 수를 600명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독립제작사 콘텐츠에 배정된 25% 쿼터도 늘어날 예정이다.
공영미디어연구소는 “2019년부터 긴 시간을 이끌어 온 채널4 상업화 계획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게 되었다”면서 “하지만 2008년, 2015년에도 상업화가 추진된 적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 가능성은 다분하다. 보수당 정부가 정치적 목적하에 채널4 상업화를 추진했다면 언제든 다른 사유를 들어 상업화를 재추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논평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