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전혁수 기자]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 임명을 강행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청문보고서 없이 임명된 11번째 인사다. 국회는 지난 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윤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진행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반대로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았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9일 "어제 인사청문회에서 보여준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의 모습은 부러진 민중의 지팡이에 다름 아니었다. 시종일관 눈치를 살피며 기회주의적 태도로 일관했다"며 "경찰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지켜낼 확고한 소신을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희근 경찰청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희근 경찰청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희근 경찰청장은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행정안전부 경찰국 설치안에 동조해 논란을 빚었다. 일선 경찰들은 경찰국 설치를 군사정권 시절 내무부 치안본부 부활로 규정하고 강하게 반발했다. 경찰 직장협의회가 기자회견, 1인 시위 등을 벌이고 경찰의 꽃으로 불리는 총경급 간부들이 '전국 경찰서장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윤 청장은 서장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총경을 대기발령하고 징계 여부까지 검토하고 있고 있다. 윤 청장이 경찰국 신설 국면에서 사실상 윤석열 정부의 편을 든 셈이다. 이후 윤석열 정부는 경찰국 신설을 밀어붙였고, 초대 경찰국장으로 김순호 치안감이 임명됐다. 김 치안감은 1989년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인노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다 경찰에 정보를 넘기고 특채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윤 청장은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초고속 승진했다'는 논란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 6월 경찰청장 후보군인 치안정감 7명 중 임기가 보장된 국가수사본부장을 제외한 6명을 교체했다. 이때 불과 치안감(경비국장) 승진 6개월차였던 윤 청장이 치안정감(경찰청 차장)으로 임명됐다. 윤 청장은 이날 경찰청장에 임명되면서 8개월 만에 3계급을 뛰어넘는 기록을 남기게 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