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지역에 기가인터넷을 구축하는 등 ‘국민기업’ 이미지를 만들고 있는 KT(대표이사 회장 황창규)가 정작 지역 지점은 폐쇄했고 주민들 항의를 받은 뒤에야 정상화 단계를 밟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지점은 전북 부안지점으로 지난해 4월 문을 닫고 정읍지점으로 통폐합된 뒤 일부 업무를 자회사에 위탁하고, 전북지역의 다른 지점에서 부안 사무실로 직원을 파견해왔다. 여전히 지점은 ‘폐쇄’ 상황이나 업무는 정상화되는 중이다.

19일 KT새노조와 부안지역에서 근무하는 KT 직원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해 4월 12일 부안지점은 폐쇄됐고, KT전북본부는 일부 업무를 KT 계열사인 KTCS에 위탁했다. 부안지점은 KT 전산망에서도 사라졌다. 전북본부는 부안지점에서 일하던 직원 20여 명을 정읍, 김제 등 주변 지역으로 재배치하고 각 지점별로 부안 사무실에 직원을 파견했다. 그러나 6월부터 일부 직원들을 시작으로 노동당, 정의당, 통합진보당 등 진보정당들과 이장단협의회가 전북본부에 부안전화국을 복원할 것을 요구했고 이후 여러 지점 직원들이 파견형식으로 운영하던 지점 사무실 현관에는 올해 3월 ‘부안지점’이라는 명패가 다시 붙었다.

이 지역에서 근무하는 한 KT 직원은 <미디어스>와 통화에서 “시골에서는 전화국이 사라지면 어르신들이 굉장히 불편해한다. ARS를 잘 다루지 못한 어르신들은 읍내에 나와서 전화국에 들러 요금도 내고 불편한 점도 얘기하는데, 그런 서비스를 하던 기구가 없어지는 것은 고장 난 전화기를 고쳐주라고 얘기할 곳이 사라지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지난해 11월 부안군이장단협의회와 농민회, 공무원노조는 ‘부안전화국 복원을 위한 군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한 뒤 서명운동과 기자회견과 전북본부 항의방문을 했다. 이에 KT전북본부 또한 부안지점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KT 직원은 “KT는 부안에서 돈만 벌고 서비스는 안 하겠다는 생각에서 지점을 닫았지만 다행히 이장단협의회, 농민회, 공무원노조가 나서줘서 그나마 지금 상황까지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부안지점 폐쇄는 최근 KT의 ‘국민기업’ 이미지메이킹과 크게 비교된다. KT는 지난해 향후 3년 동안 4조5천억 원을 투자해 ‘기가토피아’(GiGAtopia)를 만들겠다고 밝히며 전남 신안군 임자도, 경기도 파주시 대성초등학교,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했다. 아시아경제에 따르면, KT는 백령도에만 30억 원 이상을 투자했다. KT새노조 관계자는 “국민기업으로 이미지를 만들고 정작 부안 전화국은 폐쇄하는 모순된 경영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