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송창한 기자] KT(대표이사 김영섭) 구조조정 대상 노동자가 또 사망했다. 지난해 10월 구조조정이 시행된 이후 확인된 사망자가 6명에 이른다. KT새노조와 시민사회단체들은 이재명 정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하고 있다.
8일 KT새노조에 따르면, 자회사 KT netcore에 전출된 50대 노동자가 지난달 17일 심정지로 사망했다. KT netcore는 지난 1월 출범한 기술 전문 자회사다. KT는 지난해 10월 5800명 규모의 구조조정에 착수, KT netcore 등 자회사에 인력을 전출시켰다. KT는 자회사 전출이나 희망퇴직을 거부한 구조조정 대상 직원들의 경우 '토탈영업TF'로 배치했다.

구조조정 착수 당시 안창용 KT 엔터프라이즈 부문장은 전출 대상 직원들을 상대로 연 설명회에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모멸감과 자괴감 있고 굉장히 힘들 것"이라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최시환 KT OSP TF장은 전출을 거부하는 사람을 '고문관' '꼴통'에 비유하며 "무슨 수를 써서든지 이걸 처리한다"고 말했다.
KT가 대규모 구조조정에 돌입한 이후 현재까지 사망한 구조조정 대상 노동자는 6명이다. 앞서 ▲2024년 11월 명예퇴직 직원 심장마비 돌연사 ▲2025년 1월 토탈영업TF 소속 40대 직원 자살 ▲2025년 5월 토탈영업TF 소속 40대 직원 자살 ▲2025년 6월 자회사(netcore)로 구조조정된 KT직원 자살 ▲2025년 7월 토탈영업TF 직원 심정지 사망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KT새노조와 40여개 시민단체들은 이날 성명을 내어 "연이은 사망은 결코 우연한 불행이 아니다. 강압적 구조조정과 직장 내 괴롭힘이 빚어낸 명백한 사회적 참사"라며 "전출 직원들의 계속된 죽음은 KT에 남아서 토탈TF로 강제발령된 KT직원뿐 아니라 자회사 전출을 선택했던 직원들에게 심각한 후유증이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이들은 "구조조정 이후 노조와 시민사회는 수차례 KT와 정부에 죽음이 반복되지 않도록 즉각적인 대처와 대화를 요구했지만 돌아온 것은 일관된 무시였다"며 "이제는 명백해졌다. KT 경영진과 정부는 더이상 이 문제를 쉬쉬하며 방치할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김영섭 사장은 구조조정을 강행한 책임자로서 마땅히 물러나야 한다. KT는 죽음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노동부는 특별근로감독을 즉각 실시해 KT 현장의 괴롭힘과 차별적 발령 실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 노동자의 생명은 비용 절감의 수단이 아니다"라고 했다.
김미영 KT새노조 위원장은 미디어스와의 통화에서 "정신적인 스트레스 불안감들이 이런 죽음을 계속 만들어내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이런 돌연사에는 '모두 내가 선택한 일이야'라는 엄청난 자책감과 자괴감이 깔려 있는 것"이라며 "과거 KT 죽음의 행렬 때에도 돌연사하는 분들이 많았는데 같은 양태인 것 같다. '난 괜찮다'고 자기 암시를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어두운 미래 속에서 압박을 받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관련기사
- '구조조정' KT 노동자 사망…"특별근로감독 즉각 시행해야"
- "KT 낙하산 대표들, '실적 포장' 위해 구조조정 반복"
- KT 김영섭 "펨토셀 부실 관리" 인정…사퇴 요구에는 "부적절"
- 과기부 "KT, 서버 고의 폐기 의혹 조사 중…필요시 강력조치"
- 김현 "KT가 윤석열 정부 검사 정거장이냐"
- KT새노조, 이사회 향해 "새 사장 선임절차 착수하라"
- KT새노조·시민사회 '김영섭 사장 퇴진 공동행동' 출범
- KT, 해킹 은폐 후 '우린 안전' 마케팅…"김영섭 즉각 사퇴해야"
- KT 사외이사 교체 착수…정치 외풍 반복되는 이유는
- 노동시민단체 "KT '토탈영업TF' 사망자, 산재 인정 않는 건 2차가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