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안현우 기자] 올해 보건복지부 정부광고비의 절반이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광고비로 지출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의원실이 입수한 보건복지부 광고비 지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의료개혁 관련 광고비 집행은 263건이며 광고비 집행금액은 77억 원 이상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체 광고비 집행 금액 174억 원의 44.7%에 해당하며 전체 광고건수 572건 중 263건으로 46%에 달했다.

윤석열 정부는 올해 2월 6일 의대정원 2천명 확대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 이탈, 의대생 수업 거부 등 의료대란이 본격화되자 2월 27일 ‘의대 정원 확대 많은 게 아니라 우리가 늦은 것입니다’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의료개혁 광고에 돌입했다.
대대적인 의료개혁 광고는 긴급복지, 생계급여, 기초연금 등 사회적 약자 복지 정책 홍보를 밀어낸 것으로 파악됐다. 서영석 의원실은 “긴급복지와 생계급여 광고는 올해 8월까지 단 한 건의 광고도 집행되지 않았고, 기초연금 광고는 단 1건에 불과했다”면서 “정부가 주먹구구식 정책 강행으로 초래된 의료대란 때문에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자원이 투입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매체별 광고건수는 인쇄매체가 121건(46%)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방송 52건(19.8%), 인터넷 43건(16.3%) 순이다. 광고비 집행금액 기준으로 방송광고는 25억 5,300만 원(32.8%)으로 가장 많았고 인터넷 21억 7,200만 원( 27.9%), 옥외매체 14억 4,400만 원(18.6%) 순이다.
서영석 의원은 “정부광고의 본질과 목적은 국민 전체의 복지와 이익 증진임에도 윤석열 정부의 광고집행 행태는 자신들이 초래한 의료대란에 잘못이 없음을 강변하는 데만 집중하면서 사회적 약자와 공동체 전체를 위한 역할에는 소홀히 하고 있다”며 “의료대란이 초래한 나비효과가 혈세 낭비와 취약계층 소외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