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의 일부 서비스센터들이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직원들에게 일감을 몰아주면서 조합원과 비조합원의 임금 격차가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플러스 센터들은 지난 5월 노동조합과 임금 및 단체협약을 체결하며 조합원에게 불리한 대우를 하지 않기로 했으나, 지난해 고용한 파업대체인력을 유지하면서 조합 탈퇴와 도급기사 전환을 조건으로 경제적 지원을 제안하는 등 부당노동행위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1일 새정치민주연합 은수미 의원실은 LG유플러스 하도급업체 소속이자 희망연대노동조합 LG유플러스비정규직지부 소속 조합원 4명이 지난해 7~8월과 올해 7~8월분 임금을 공개했다. 자료를 보면, 4명 모두 월 평균 급여가 100만원에서 150만원 가량 줄었다. 200만원 후반이나 300만원 중반대에서 100만원 후반에서 200만원 초반대로 줄었다.

이를 두고 은수미 의원은 “원청 LG유플러스의 묵인과 방조, 그리고 센터의 노조 혐오증이 함께 작동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콜센터가 접수한 업무를 전국 60여개 고객서비스센터로 직접 할당한다. 그리고 센터 스케줄러가 기사에게 업무를 분배한다. ‘선택적 할당’이 가능한 방식이다. 콜센터에서 직접 할당량이 적은 기사에게 업무를 분배하는 SK브로드밴드와 비교된다.

실제 LG유플러스의 센터는 비조합원에게 일감을 몰아줬다. 지난 7월 파주 고객서비스센터의 기사별 업무처리 현황 자료를 보면, 비조합원 멀티기사(개통‧AS 동시 수행)들은 평균 199건의 업무를 할당받았으나, 조합원들은 94건에 불과했다.

▲ 2015년 7월 파주센터 기사별 업무처리 현황 (자료=새정치민주연합 은수미 의원실)

은수미 의원실은 “이같이 각 고객서비스센터가 기사들에 대한 선별적 업무할당이 가능해지면서, 조합원과 비조합원간 업무할당 차이가 확연하게 발생해 급여 차이가 생겼다”며 “기본급 외에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성과 자체를 낼 수가 없도록 하면서 조합원에 대한 생존권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LG유플러스 센터들은 할당량이 적어 생계 압박을 받고 있는 노동조합 소속 직원들에게 도급기사로 전환할 것을 유도하고 있다. 은수미 의원실은 “최근 협력업체의 상황을 보면 오히려 도급기사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인천지역 일부 센터에서는 전체 기사의 70% 정도가 도급직일 만큼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분당센터에서는 ‘노동조합 탈퇴를 조건으로 250만원을 지원’하기로 한 거래 사실 또한 드러난 바 있다.

은수미 의원은 “노동자들이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임단협을 체결했는데, 원청과 묵인과 방조, 하청 협력업체의 각종 부당노동행위로 인해서 생존권이 총체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현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다”면서 “평소 기초고용질서는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했던 고용노동부 장관이 진심이라면, 조속히 이러한 현실에 대해서 실태조사와 함께 강력한 근로감독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