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정부 요직을 지낸 바 있는 70대 아버지가 40대 아들을 살해했다. 80대 부모와 사는 50대 히키코모리 동생에 대해 형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서로 다른 두 가족의 이야기는 우리나라가 아니라 일본의 사례이다. 1990년대부터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난 '히키코모리', 그들이 세월이 흘러 중년의 나이가 되었다. 나이 든 부모와 가족들은 걱정이 많다. 그나마 그들의 울타리가 되어주던 부모가 세상을 떠나면, 그다음엔?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

남의 나라만의 이야기일까? 일본의 경우 히키코모리가 15세에서 39세까지 54만 1천여 명, 40세에서 64세 사이가 61만 3천여 명으로 이미 100만 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9년 광주광역시에서 처음으로 실태조사에 나섰다. 우리의 현실은 10만? 100만? 그 수치조차 추정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전국적인 실태 조사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적이 없기 때문이다. 통계가 없으니, 그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제도도 마련되지 않았다.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은둔형 외톨이'는 이상한 사람으로 치부하는 등 '개인'의 문제로 인식된다. 과연 은둔형 외톨이는 개인만의 책임일까? 3월 29일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가 이에 대해 다룬다.

은둔의 미로에 빠진 청년들

은둔형 외톨이는 일정 기간 자신만의 공간에 머물며 사회 활동에 곤란을 느끼는 이들을 말한다. 이들은 대부분 대인기피증을 앓고 있고 무기력하며, 강박 장애를 겪거나 때론 돌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 '사회적 투명인간'들. 가족들은 평범하고 행복해 보여, 그 가족 내에 은둔형 외톨이가 있는지 외부인들은 알기가 쉽지 않다.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

우리나라의 경우 IMF를 거치고 신자유주의가 등장한 2000년부터 사회적으로 이들의 존재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언론의 '관음증적 보도' 이상을 넘어선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은 없었다. 대략 우리나라도 100만 정도 되지 않을까 추정만 할 뿐이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이들은 고립을 자초한 것이 아니라고. 미로에 빠진 동물처럼, 궁지에 몰려 문밖으로 나설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혼자 남겨진 이승택 씨는 10개월 동안 은둔형 외톨이로 지냈다. 흔히 은둔형 외톨이들이 사는 공간에 쌓인 쓰레기더미들, 승택 씨 역시 그랬다고 한다. 치울 힘조차 없었단다. 음식에 곰팡이가 피는데 인지조차 되지 않았다고 한다. 무기력해지다 못해 라면사리에 날김을 싸서 끼니를 때울 지경에 이르렀다.

10년 이상 은둔형 외톨이로 지낸 정인희 씨는 1년에 하루도 밖에 안 나간 적이 있었다고 한다. 당연히 위생관리도 엉망, 창문을 통해 더러운 자신의 모습이 보일까 창문조차 열지 못했단다.

김모 군은 식구들이 출근하면 그때서야 혼자 방에서 어머니가 사준 라면 한 박스로 끼니를 때웠다고 한다. 박 모씨는 점점 밤낮이 바뀌고, 시간 개념이 없어지고 계절 감각도 사라졌다. 여름이라 생각해서 반팔을 입고 있었는데 창문을 열어보니 눈이 오는 그런 지경에 이르렀다.

공정의 가면을 쓴 약육강식 사회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

이들 중 상당수가 가정 내 갈등을 겪는다. 가부장적이고 강압적인 아버지 등의 존재로 인해 소통의 어려움을 겪으며, 스스로 말문을 닫고 방문을 잠그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당수가 학교 폭력이나 집단 따돌림 경험을 지닌다. 학교 폭력의 경험이 사람 자체에 대한 두려움을 낳고,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 대한 기피로 이어지게 되는 식이다.

학교에 가면 나무에 묶여 매일 맞는 지경이었지만 학교에서는 해줄 게 없다고 했단다. 학교에 가지 않는 아이에게 '너는 왜 집에 있니?'라는 엄마, '하다못해 공무원 시험을 보든가, 공장이라도 빨리 뭐라도 해라'는 아버지 등 가족 간의 불통이 더욱 세상의 문을 닫게 만든다.

무엇보다 ‘공정의 가면’을 쓴 약육강식의 사회가 은둔형 외톨이를 만든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속도를 늦추면 곧 밟힐 것 같은 세상. 빨리 무언가를 이루어내야 하고, 또래 아이들과의 격차를 부모들부터 못 견디는 세상이 아이들이 스스로를 세상으로부터 차단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렇게 학업이나 취업 등 세상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 이들은 스스로 '난 뭘 했지? 내가 게으른 사람인가?' 자책한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겠다 싶어 세상을 향한 문을 닫아걸게 된다는 것이다.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

이들에 대해 사회는 '편견'으로 대응한다. 정신질환자라거나 범죄자, 게임중독자라는 딱지를 붙이기 급급하다. 보호해줘야 할 가정도 울타리가 돼주기 힘들다. 대부분 은둔형 외톨이를 둔 가정에선 '부끄럽다'는 이유로 드러내기를 꺼려 외려 문제를 더 키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학업과 취업, 그리고 인간관계 실패로 인해 고립을 자처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진 건 신자유주의 체제의 후유증이다. 그런데 서구의 젊은이들이 집 밖을 떠도는 노숙자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가족주의 정서가 강한 아시아에서는 집안으로 숨어드는 '은둔형 외톨이'의 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

광주광역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은둔형 외톨이 경우 61.6%가 남성, 그중 75.5%가 20~30대이다. 그리고 77.2%가 은둔 기간 3년 미만이라 답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사회적 도움의 손길을 멀다.

가족 간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 그 고립된 생활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벗어나는 것이 우선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그런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은 재정난에 시달리는 사회단체에 국한되어 있다. 그리고 은둔 청년에 대해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는 사회적 분위기, 대부분 젊은 층이기에 '청년을 왜 도와야 하나? 일하면 되지'라는 사회적 편견이 이들 젊은이들의 자립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KBS 1TV <시사기획 창> ‘은둔형 외톨이는 무엇으로 사는가?’ 편

'은둔형 외톨이'를 돕는 K2인터내셔널의 오쿠사 미노루 씨는 한국사회가 은둔이 장기화된 일본 같지는 않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 경고한다. 한국의 사회 구조가 은둔과 고립을 더 강화하는 경쟁사회라, 앞으로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대비 마련이 시급하다고 청한다.

하지만 여전히 은둔 청년 문제를 '개인 혹은 가족의 일’로 치부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실태조사마저 쉽지 않다. 방문을 닫아 걸은 100만의 청년들, 과연 개인과 가족이 해결할 수 있을까?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