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의 조중동식 ‘따옴표 저널리즘’은 오늘도 계속됐다. 문현숙 선임기자가 쓴 5일자 “종편 특혜 미디어렙법안 오늘 처리, 언론단체 ‘방송사 이전투구 불보듯’ 기사는 한겨레가 미디어렙 처리 논란을 대하는 일관된 태도를 드러냈다. 이전 한겨레의 미디어렙 처리 논란 기사는 문 기자를 포함해 두, 세 명의 기자가 합작한 결과이지만 5일자 기사의 바이라인은 ‘문현숙 선임기자’였다.

문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언론계에선 조중동 종편과 SBS를 위한 특혜 법안이라는 비판을 듣고 있는 미디어렙법안이 그대로 통과되면 방송광고 시장의 황폐화가 가속될 것이면서 여야가 재논의하거나 법안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사실관계에서 벗어나지 않는 지적이다. 하지만 일각의 목소리만 대변한 결과로 진실을 호도하고 있다.

문 기자는 지난 1월 1일 여야 합의로 문방위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한 미디어렙 법안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따지며 재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 기자가 강조한 미디어렙 재논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정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언제 재논의할 것이냐’라는 정작 중요한 시기의 문제는 빠져 있다. 문 기자도 4월 총선에서 민주당이 다수당이 돼 처리를 시도하자는 민언련과 민주당 임시최고위원 최민희 씨 주장에 한 표를 던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렙 법안에 대해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한겨레와 문 기자의 역할이라고 인정한다. 하지만 연내 입법 반대에서 재논의로 포장을 바꾼 민언련의 주장으로 그대로 옮겨 보도하는 것은 따져볼 문제다. 문 기자는 관련기사 말미에 “이대로 법안이 통과된다면 각 방송사들은 제 살길을 찾아 이전투구를 벌이며 방송 공공성을 뿌리부터 훼손시킬 것”이라는 민언련의 주장을 가감 없이 인용했다.

이 같은 민언련의 주장과 자사 이익을 위해 앞뒤 안 가리고 뛰고 있는 KBS, MBC, SBS의 행태가 맞닿아 있다는 것을 문 기자가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문 기자만큼 미디어렙에 대해 천착한 기자는 드물다.

적의 적은 동지라고 했던가, 민언련의 연내 입법 반대, 재논의는 미디어렙법의 규제대상인 지상파방송사와 이해를 같이한다. 이게 바로 문 기자가 말하지 않은 것이다. 문 기자는 미디어렙 입법 불발에 따른 법 공백에 대해 지적하지 않는다. 다만 현재 미디어렙법안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할 뿐이다. 민언련과 마찬가지로 선명하지만 무책임하다. 민언련은 종편을 가리키며 MBC 공영렙 지정을 반대하는 것으로 문 기자도 이에 복무하고 있다. 행간이 텅비어버린 ‘따옴표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목적으로 해석된다.

민언련은 현재의 미디어렙법이 통과되면 각 방송사들은 제 살길을 찾아 이전투구를 벌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불완전성에 대한 우려로 귀담아 들을 구석은 있다. 그러나 입법 불발로 발생하는 각자 영업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대참사에 대해 민언련과 문 기자가 어떤 해답을 내놓을지 궁금하다. 생매장만은 막아달라는 호소에 완벽한 법을 만들라며 딴소리를 하는 게 무책임할 수도 있다는 진실을, 아니 사실을 문 기자가 알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