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정희] 3월 22일 첫 방영된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가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좀비를 연상시키는 '생시'로 인해 왕자마저 위협 받는 상황, 태종 이방원(감우성 분)은 로마 교황청에 도움을 요청한다. 로마 교황청의 특사 자격으로 조선을 방문하게 된 요한 신부를 맞아 대접하는 장면에서 '월병' 등의 중국 음식이 상에 그득하다. 왜 로마 교황청에서 온 신부를 대접하는데 '중국' 음식이어야 하는가?

하지만 <조선구마사>의 본질적 문제는 그런 한 장면의 문제가 아니다. 박계옥 작가의 전작 <철인왕후>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시청률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드라마는 성황리에 끝을 맺었다. 그리고 시작된 <조선구마사>에서 국적 불명의 상황으로 인해 다시 문제가 불거졌다. 박계옥 작가가 <철인왕후>에 이어 제기하고자 하는 세계관은 <조선구마사>를 통해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tvN 드라마 <철인왕후>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을 연상시키는 좀비들의 역습으로 시작된 드라마 <조선구마사>. 하지만 <킹덤>과 <조선구마사>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역사'이다. 조선인 듯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가지만 <킹덤>은 조선이 아니다. 그저 우리가 왜란 이후 조선 어느 때쯤이라고 연상은 할 수 있지만 엄밀하게 '판타지적' 공간이다.

<킹덤> 역시 왕실을 능멸하는 설정이 등장한다. 왕은 좀비가 되고 왕가의 혈통은 '아무개'로 이어진다. 하지만 그걸 보고 시청자들은 '역사 왜곡'이라고 하지 않는다. 조선인 듯하지만 가상의 공간에서 벌어진, 가상의 봉건적 권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게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누군가가 되는 순간 서사의 뉘앙스는 달라진다.

대놓고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냉소하는 드라마

<조선구마사>는 태종 이방원이 통치하던 조선 초를 배경으로 한다. 10년 전 생시와의 싸움을 끝으로 평화를 되찾은 조선. 하지만 다시 생시가 등장한다. 그 생시를 없애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사절단으로 찾아온 요한 신부에게 훗날 세종이 될 충녕(장동윤 분)은 생시 출몰의 원인을 묻는다. 그러자 뜻밖에도 태종과 태조 이성계에게 그 이유를 물으라는 대답이 나온다.

태종에게 밉보인 세자 양녕(박성훈 분) 역시 원명왕후(서영희 분)에게 같은 질문을 던지고, 원명왕후는 '네가 왕위를 물려받으면 알게 될 것'이라며 답을 피한다. 두 상황을 통해 눈 밝은 시청자라면 10년 만에 다시 조선에 등장한 '생시'가 조선 건국 과정에서 벌어진 결과물이라는 것을 눈치채게 된다.

SBS 새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

즉,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건국하는 과정에서 이성계와 이방원이 마치 영생을 위해 악마와 거래를 한 파우스트처럼 손을 빌려서는 안 될 세력에게 도움을 청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결국 생시로 인한 작금의 사태는 조선 건국의 '정당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된다. 이러한 극의 톤은 극중 요한 신부를 대접하는 과정에서 선조 '목종'도 음주가무를 즐겼다는 자조적인 대답을 하는 충녕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조선 왕실에 비판적이다 못해 조소하는 듯한 박계옥 작가의 시선은 앞서 <철인왕후>에서도 드러난 바 있다. 중국 드라마 리메이크 작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감안해도, 현재의 남자가 과거의 황후의 몸에 빙의되어 왕과 로맨스를 벌이는 기본적인 스토리가 가지는 불온함은 왕실을 희화화하는 여러 설정과 함께 시청자들의 우려를 자아냈다. 하지만 재밌으면 그만이라는 시청자들의 화답으로 <철인왕후>는 무사히 막을 내렸고, 결국 <조선구마사>의 사태를 불러왔다.

늘 아버지 태상왕에 대한 심적인 부담을 안고 있던 이방원은 10년 전 의주에서 그 '트라우마'로 인해 애꿎은 백성들을 '집단 살상'한다. 태종이 조선 건국 과정에서, 그리고 왕자의 난 등으로 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켰지만 그런 사실과 <조선구마사>의 집단 살상은 전혀 다른 차원이다. 드라마는 이렇게 묘하게 역사적 사실이 가진 뉘앙스를 변조한다.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인한 정변과 무차별 학살은 엄밀하게 다른 문제이다.

물론 봉건시대 왕조에 대해 '퓨전'의 관점에서 사실을 비트는 것이 21세기에 큰 문제가 있겠냐 싶을 수도 있다. 영국 국영방송인 BBC에서 방영하는 <닥터 후>를 보면 영국 왕실이 외계인의 후손이라는 설정이 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시리즈 중 한 에피소드와 20여 부작의 역사극과는 그 영향력이 다르다. 특히 동북공정으로 중국이 자국의 역사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왜곡'도 마다하지 않는 상황에서, 비틀기를 넘어선 '퓨전 사극'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할까 <조선구마사>는 고민을 남긴다.

19금 자극적 설정, 어설픈 서사

SBS 새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

그런데 조선 건국 과정에서 '생시'를 불러올 만큼 불미스러운 정당성을 가진 태종조 조선에서 다시금 생시로 인해 벌어지는 사태의 양상이 어설프다. 19금을 내세워, 목을 자르고 배를 가르는 등 자극적인 장면을 통해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고자 한다.

첫 회 8.9%에서 한 회만에 6.9%로 떨어진 시청률에 대해 제작진은 역사왜곡 논란 때문이라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무엇보다 드라마가 자극적이기만 하고 어수선하다.

생시에 대한 원죄를 가진 이방원과 그의 두 아들 양녕과 충녕 사이에 벌어진 왕위 승계의 갈등을 '구마'라는 특이한 설정을 통해 풀어보려고 하는데, 1회에 이어 2회에 드라마가 벌여놓은 구도가 산만하다. 태종과 양녕, 그리고 충녕 주변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이 유기적 연결 없이 나열된다. 요한 신부, 중국풍의 식탁 그리고 어설픈 국무당의 굿판 등 국적 불명의 설정들이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SBS 새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

거기에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는 냉소적이면서도 정작 이야기를 퓨전으로 이끌어가는 방식은 어설프다. '구마'라며 뜬금없이 십자가를 든 신부가 등장한다. '구마'라는 설정을 만들어 놓았지만 상상력이 빈곤하다 보니 결국 <손 the guest> 신부님을 초빙한 것인가. 조선 왕조가 끌어들인 구마 의식이 십자가요, 성수라는 상황에 실소가 나온다. 하다못해 <손 the guest>의 전통무속이라도 참조했으면 나았을 것을, 궁궐 한가운데서 벌어진 국무당 무화(정혜성 분)의 굿판 역시 정체불명이다. 조선을 배경으로 한 엑소시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부족해 보인다.

그러니 결국 시청자의 시선을 잡을 수 있는 방식이 생시들의 난립과 목을 자르고 피를 흘리며 싸우는 19금의 설정밖에 없다. OST는 웅장하지만 그 웅장함을 버텨나갈 서사가 빈약하다. <육룡이 나르샤>, <녹두꽃>의 신경수 피디 작품이 맞는가 싶다. 드라마는 봉건적 권위를 한껏 조롱하지만 자극적 장면 외에 서사로 시청자들을 흡인하기에 부족하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