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김혜인 기자]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열린 미국과 중국의 첫 고위급 회담이 공동성명 발표 없이 끝나자 신냉전체제가 부활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부의장은 “간단한 문제 같지만 앞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의 관계가 거의 신냉전의 단계로 넘어가는 변곡점이었다”고 말했다.

19일 미국 측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중국 측 양제츠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과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3차례에 걸쳐 2+2 회담을 진행했다. 양국은 회담 첫날인 18일부터 모두 발언을 통해 신경전을 벌였고, 통상 회담 후 발표하는 공동성명은 없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후 미중 간 첫 고위급 대면 회의가 18일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열렸다. (사진=연합뉴스)

정 부의장은 22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미국은 홍콩, 신장위구르 문제를 근거로 중국에 인권문제를 제기했고, 중국은 국내 문제이니 내정간섭 하지 말라며 맞받아쳤다”며 “각각 2분으로 약속된 모두 발언이 1시간 넘게 이어졌다”고 전했다.

정 부의장은 “미국은 일본·인도·호주 등과 4개국 협의체 '쿼드'를 강화하며 한국과 베트남 등으로 확대하는 ‘쿼드 플러스’에 들어오라 하지만 우리는 중국으로부터 경제적 보복을 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외정책에 있어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18일 한미 2+2 회담에서 나온 공동성명 일부 내용에 대해 “아주 고약한 대목”이라고 말했다. 정 부의장은 “공동성명에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미 간에 완전히 조율된 대북전략 하에 한반도 문제를 다뤄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과거 경험으로 볼 때, 2018년 11월 20일 출범한 한미 워킹그룹이 결국엔 남북관계의 발목을 잡았고 1994, 1995년 북핵 문제를 놓고 미국이 꺼내든 대안도 ‘한미 공조 원칙으로 협의하자’였다”고 설명했다.

정 부의장은 “우리가 미국과 다른 의견을 내면 ‘한미 공조 원칙에 어긋난다’며 끌고 왔다"며 "이번에도 '한미 간에 완전히 조율된 대북전략 아래에 한반도 문제가 다루어져야 한다'고 합의했는데 나중에 서로 뜻이 다를 때 힘센 미국에 끌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정 부의장은 현재 정부가 고민할 부분은 북한의 물자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북한에서 체코 대사관, 러시아 대사관 직원들이 철수한 것 에 대해 정 부의장은 “물자 보급이 안 되니 식량 문제로 대사관 직원들이 철수해야 할 만큼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외신을 통해 접한 북한은 강냉이죽을 먹기 힘들어 시래기로 끼니를 때우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오는 4, 5월 보릿고개가 시작되면 아사자가 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

유엔 산하의 WFP(세계식량계획) 소속 외국인 직원들까지 철수한 것으로 알려지자 정 부의장은 “WFP가 돌아가면 북한 식량 사정에 대해 리포트를 내고 국제사회가 도와야한다는 캠페인을 벌인다. 이때 한국 정부가 움직였던 적이 많다”며 “이번에는 우리가 좀 먼저 움직여야 한다. 보수언론에서 퍼주기라고 선동하겠지만 지난해 태풍이 북한을 쓸고 간뒤 코로나로 국경이 폐쇄돼다보니 식량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