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안대희 이후 미묘하게 다른 조중동, 튀는 중앙일보 < 비평 < 뉴스 < 큐레이션기사 - 미디어스

상단영역

뉴스Q

기사검색

주요메뉴

본문영역

비평

청와대 민정라인과 '청문회'에 집착하는 중앙일보의 의도는?

안대희 이후 미묘하게 다른 조중동, 튀는 중앙일보

2014. 05. 30 by 김민하 기자

안대희 전 대법관의 사퇴 이후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의 목소리가 미묘하게 다르다. 이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앙일보>는 다른 ‘계산’이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 중앙일보 30일자 사설

30일 조간에서 <중앙일보>는 ‘박 대통령, 절대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지금까지 위기에 강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세월호 참사 이후에는 다소 조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행정혁신처 등 안전행정부 개편을 둘러싼 혼란, 사회·문화 분야를 총괄하는 부총리직 신설에 대한 논란, 안대희 전 대법관의 총리 후보자 사퇴 등이 모두 이와 연관돼있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는 “안대희 전 후보자의 전관예우 의혹은 쉽게 검증할 수 있는 것인데 이를 못했다면 무능한 것이고, 알고도 강행했다면 민심을 모르는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중앙일보>는 ‘전관-로펌 집단사고로 무슨 검증인가’라는 제목의 사설과 ‘민정라인 80% 대형로펌 출신, 국민정서와 다른 잣대’ 제하의 기사로 인사검증과 관련된 청와대 참모들을 직접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 중앙일보 14일자 1면

▲ 14일 중앙일보 지면

▲ 중앙일보 15일자 1면

▲ 23일자 중앙일보 지면

<중앙일보>는 안대희 전 대법관 후보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되기 약 일주일 전인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신상털기’로 귀결되는 청문회 문화를 바꾸자는 특집 기획 기사를 몇 개 면에 걸쳐 배치했다. <중앙일보>는 이 기사에서 후보자의 능력을 검증하는 청문회가 되어야 한다며 도덕성과 관련된 검증은 되도록이면 비공개로 하자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이런 흐름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면 <중앙일보>가 염두에 둔 특정한 총리 후보자가 있었던 것 아니었나 하는 의구심을 가져봄직도 하다. <조선일보>가 ‘안대희 물망’이란 제목의 기사로 안대희 전 대법관을 강하게 밀 때 <중앙일보>는 ‘깜짝 인사’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애써 이를 부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더니 안대희 전 대법관이 낙마한 이후인 오늘은 위의 사설에서 “마음을 열고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야 한다. 여기에는 평소 생각을 달리하는 사람들도 당연히 포함된다. 그러면 돌파구도 열릴 것이다. 그 정도의 시간은 국민이 얼마든지 기다려줄 수 있다”면서 “대통령은 절대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다시 강조하고 있다.

현재 김문수 경기도지사,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 등이 언론을 통해 후임 총리 후보자로 구체적 이름이 거명되는 상황에서 <중앙일보>의 이러한 주장은 대단히 의미심장한 것이다. “지금 언급되는 인사들은 아니다”라는 입장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날 <조선일보>는 ‘법조계, 전관예우라는 부패의 마약 끊어야 한다’는 제하의 사설을 배치해 안대희 전 대법관을 낙마하도록 만든 결정적 계기인 ‘전관예우’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또다른 법조인을 주요 직책에 중용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로 읽힐 수도 있고 안대희 전 대법관을 적극적으로 밀었던 <조선일보>의 ‘민망한’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읽을 수도 있다.

한편, <동아일보>는 ‘국정원장 안보실장 부재의 안보공백 불안하다’는 제하의 사설을 통해 북한의 움직임이 심상찮다면서 국가안보와 직결된 국정원장과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경우에는 후임 총리 후보자의 지명과 관계 없이 인사가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언론 등을 통해 국정원장에는 이병기 주일대사, 황교안 법무부 장관, 김숙 전 국정원 차장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는 김관진 국방부장관과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거론되고 있다. <동아일보>의 주장대로 청와대가 국정원장과 국가안보실장에 대한 인사를 먼저 처리하는 경우 이들 중에 한 사람이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일부 언론에서는 벌써부터 국가안보실장에 김관진 장관이 유력하다는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