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공적재원 의존하는 KBS 비판보도는 당연"

"KBS, 다른 언론의 감시·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KBS, '박민 경영진 업추비 인상' 보도에 "법적대응 검토"

2024-10-11     송창한 기자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KBS가 박민 사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업무추진비를 늘렸다는 보도에 대해 '법적 대응'을 시사하자, MBC 관계자는 '준혈세', 즉 수신료를 재원으로 하는 KBS에 대해 엄격한 기준이 요구된다며 필요 시 KBS 비판 보도를 이어가겠다고 했다. 

지난 9일 MBC '뉴스데스크'는 <직원들에게 '명퇴'하라던 박민 KBS 사장‥간부들 업추비는 대폭 증액>을 리포트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민주당 김우영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3일 박민 사장 취임 당시 월 집행한도 240만 원이었던 KBS 사장 업무추진비는 올해부터 월 320만 원으로 33% 인상됐다. 감사와 부사장, 본부장, 센터장, 지역총국장, 지역국장 등의 업무추진비도 비슷한 수준으로 올랐다. 반면 부서운영비는 동결됐다. 지난 1월 특별명예퇴직·희망퇴직으로 직원 87명이 KBS를 떠났다. 

MBC '뉴스데스크' 10월 9일 보도화면 갈무리

10일 KBS는 보도자료를 내어 "악의적인 MBC 보도에 대해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KBS는 ▲경영진 업무추진비는 2023년 7월부터 6개월 동안 내부 한도의 60%로 과도하게 낮춰져 있어 80%로 정상화했다 ▲사장부터 부장까지 경영난 극복을 위해 월급 일부를 자진 반납했다(현재까지 33억 원) ▲MBC 사장·본부장 업무추진비는 KBS의 2배가 훨씬 넘는다 ▲MBC는 3년 동안 업무추진비 20억 원을 현금으로 지급해 경찰 수사 중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KBS, MBC '박민 업추비 인상' 보도에 "악의적…법적대응 검토 중")

이에 대해 11일 MBC 관계자는 미디어스에 "비판 보도에 대한 KBS의 반박 보도자료는 합리성 대신 악의와 왜곡을 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KBS는 국민들이 내는 수신료로 기본 재정이 운영되기 때문에 간부들과 사장의 업무추진비 책정과 사용처에 대한 검증에 엄격한 기준이 요구되는 건 당연하다. 국민의 준혈세를 쓰는 KBS와 주식회사 MBC의 차이"라고 말했다. 

MBC 관계자는 "MBC는 재원을 광고와 유통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공적 재원을 전혀 받지 않는 가운데 경영성과와 생존을 위해 좋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은 물론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영업 및 대외활동이 필요한 상법상 주식회사"라며 "지상파 방송사로서는 유일하게 올해 상반기까지 5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은 모든 직원들의 노력 때문이다. 이는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는 KBS와의 확연한 차이"라고 강조했다. 

MBC 경영진이 지난 7월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에 보고한 '2024 상반기 경영실적 현황'에 따르면,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186억 원이다. MBC는 2020년(39억 원), 2021년(684억 원), 2022년(566억 원), 2023년(77억 원)에 이어 2024년도 상반기까지 흑자 행진을 이어왔다. KBS 경영진은 올해 1600억 원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KBS 10월 10일 보도자료 갈무리

MBC 관계자는 과거 업무추진비가 현금으로 지급된 사례를 KBS가 불법인 것처럼 보도자료를 냈다며 "사실관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MBC 관계자는 "당시 전체 업무추진비 가운데 현금 업무추진비는 일부로, 경조사비 등 용처 증빙이 어려운 용도를 위해 책정된 방식"이라며 "20년 이상 문제없이 시행돼 왔고, 당연히 세금을 공제했다. 등기이사의 연봉을 올리는 대신 굳이 현금성 업추비라는 항목을 만든 건 등기이사들의 퇴직금을 덜 지급하기 위한 경영상의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MBC 관계자는 향후에도 필요하면 KBS에 대한 비판보도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했다. MBC 관계자는 "현재 '관제방송'이라는 비판까지 받고 있는 KBS지만 MBC는 한국의 대표적인 양대 공영방송으로서 상호 선의의 경쟁을 적극 환영한다"며 "거듭 밝히지만 국민들의 공적 재원에 의존하는 KBS는 특히 다른 언론의 감시와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고 잘라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