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다시 도래 한 광우병 파동, '조중동은 불안하다' < 비평 < 뉴스 < 큐레이션기사 - 미디어스

상단영역

뉴스Q

기사검색

주요메뉴

본문영역

비평

[분석]보수언론 지면에 비친 불안감과 곤혹스러움

다시 도래 한 광우병 파동, '조중동은 불안하다'

2012. 04. 26 by 김완 기자

불안이 비친다. 중앙일보는 제목에 ‘국민은 불안하다’는 문장을 넣어 불안감을 직접적으로 드러냈다. ‘광우병 트라우마’는 부인할 수 없는, 한국 사회 보수 세력 전체의 외상이다.

4년 만에 다시 도래한 ‘광우병 정국’에 조중동을 비롯한 보수 세력은 매우 조심스런 모습이다. 자칫 이 문제가 정권 말기적 현상과 겹치며, 어떤 파장을 만들어낼지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4년 전 조중동은 쓰레기로 정문이 봉쇄되는 굴욕을 겪었다. 이후 종편 사업자 선정까지 이어진 대대적 대중의 불신은 광우병 춧불에서 당겨진 불씨에서 출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늘자 조중동은 광장이 다시 뜨거워질지도 모른다는 불안에 영혼이 잠식당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지난 몇 년간 ‘광우병’을 매우 극단적인 방법으로 개념화해왔는데, 그 공세가 물거품이 될까 곤혹스런 논조가 보인다. 2008년 촛불 집회가 마무리 된 이후 조중동에게 ‘광우병’은 언제나 공세의 소재였고, MBC를 비롯한 일부 언론들이 거짓말을 했다고 선전하는 매개였으며, 자신들을 제외한 나머지가 비이성적이라는 점을 홍보하는 상징적 어휘 그 자체였다.

그런데 다시 미국에서 ‘광우병’소 발견됐다. 정국에 ‘최시중 게이트’의 정치적 암운이 드리워지고 있는 때에, ‘광우병’ 파문이라는 소비자 이슈까지 겹쳐진다는 것은 조중동과 보수 세력 입장에선 수습하기 어려운 쌍끌이 국면이 도래할 우려마저 드는 매우 비상한 상황이다. 이 비상한 상황에 대한 조중동의 입장은 사뭇 갈리는 것 같으면서도 결국, 하나로 모아지고 있다. 적절한 거리두기를 기본으로 수입 중단에 대한 어떤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광우병 위험 최대한 밀어내며, '희소성' 강조한 조선일보

조선의 경우 광우병 문제 자체를 최대한 밀어내는데 주력한 모습이다. 다른 일간지들이 대체로 이 문제를 1면 탑 기사나 그에 준하게 처리한데 비해 조선은 1면에 실긴 하되 박스 처리해 하단으로 밀어냈다. 제목 역시 정부의 해명을 그대로 받아 ‘정부, 미 쇠고기 검역 강화 일·EU처엄 수입은 계속’이라고 건조하게 갔다.

▲ 26일자 조선일보 광우병 관련 보도 캡쳐.

미국에서 작성된 조선의 기사는 이번 광우병 파문이 “동물성 사료가 원인이 아니다”는 미국 측의 입장과 함께 “유전자 변형 등 자연발생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경우엔 증상이 다르며 감염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되며 결론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수입 중단에 대해서 “미국산 쇠고기의 최대 수입국인 캐나다와 멕시코는 물론 일본, 유렵연합 러시아 등이 수입 또는 검역(통관) 중단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점이 부각됐다.

이어진 2면의 기사 역시 ‘캐나다 등 미 쇠고기 수입국 모두 중단조치 안해’를 제목으로 했다. 조선은 특히 ‘미 광우병 6년 만에 발생’을 면 제목으로 뽑아, 2006년 이후 한 번도 없다가 이번에 처음 발견된 오랜만의 일이라는 희소성을 강조하는 스탠스를 취했다. 이 기사에서 조선은 ‘감염성 낮은 ’비정형성‘’, ‘한국이 수입하지 않는 젖소’, ‘우유나 치즈 통한 감염성 없어’, ‘수입중단은 논란’ 등으로 내용을 요약정리하며 결과적으로 ‘위험성이 적으며, 수입 중단은 국제적 추세가 아니다’는 메시지의 전파에 주력하는 모습이었다.

특히, 눈에 띈 것은 2면에 배치된 박스 기사였는데 4년 전 정부가 “광우병 발생 즉시 수입 중단”을 약속했지만 이후 “여야 합의로 법을 개정해 정부에 재량권을 줬다”는 점을 부각했다. 조선이 지적한 여야 합의 법안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을 말하는데, 이 법안과 수입 중단 문제를 결부시키는 것은 논리적 개연성이 상당히 부족한 일방적인 정부의 설명일 뿐이다.

조선의 이 박스 기사를 주목해야 하는 까닭은 이 비논리적 개연성이 앞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보이기 때문이다. 당장에는 대중의 광우병 트라우마를 자극하지 않는 수위에서 기사 조절을 하겠지만, 초기의 충격이 어느 정도 가시는 시점이 오면 조선은 이 문제에 대해 다시 공세적 자세로 논조를 전환할 공산이 크다. 지난 2008년 당시에도 조선은 광화문의 인파가 감소세로 돌아서자, 기다렸다는 듯 광우병 논리의 비이성성을 타박하고 나선바 있다. 이때, 조선이 국면 전환의 도구로 활용했던 것은 일부 시위대의 과격성과 함께 야당 무용론이었다. 다소 뜬금없어 보이는 야당의 책임론을 제기한 오늘 자의 맥락은 그래서 조만간 있을 대대적 논조 전환의 근거를 선취해두고자 하는 판단으로 보인다.

정부 대책이 실패할 경우의 우려 전한 중앙일보

중앙일보 역시 기본적으로 조선과 같은 스탠스다. 다만, 조선에 비해 중앙이 보다 적극적으로 정부의 대책을 물었다는 차이 뿐이다. 중앙은 광우병 문제를 1면 탑 기사로 배치하고, ‘4년 만에 재발한 광우병 트라우마 국민은 불안하다’를 제목으로 뽑았다. 기사 제목만 보면 시점이 국민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기사 내용이 그렇지는 않다. 이 미스매치는 중앙의 우려가 국민의 눈높이에서 바라 본 우려가 아닌 정부 대책이 실패할 경우 도래할 국면에 대한 우려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 26일자 중앙일보 광우병 관련 보도 캡쳐

중앙 역시 조선과 마찬가지로 ‘광우병이 발생한 소는 한국에 수입되지 않는 30개월 이상된 젖소이고, 한국엔 가공품도 들어오지 않아 문제가 없으며, 일본과 EU도 문제를 삼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을 안심시킬 정부대책은 시급하다는 것이 중앙의 입장이다. 중앙은 “광우병의 문제는 단순히 식탁 안전의 문제가 아니”라며 2008년의 경우 “일부 세력의 왜곡과 과장이 파고 들었다”며 혼란의 재연을 걱정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