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국감 중 언중위 조정신청 19건…최민희 6건
'방심위 접속차단 문의' '자녀 결혼식' 등 보도 조정신청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국정감사 기간 비판 보도 19건에 대해 언론중재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의원 중 가장 많은 조정 신청을 낸 것은 6건의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다.
4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언론중재위가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실에 제출한 ‘조정 신청 처리 현황’ 결과, 국정감사 기간(10월 13~30일) 더불어민주당은 총 8건의 조정 신청을 냈다. 민주당 의원 개별로 보면 최 과방위원장은 6건, 추미애 법사위원장은 4건, 김용민 법사위원은 1건의 조정 신청을 접수했다.
최 위원장은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 ‘방통심의위 비판보도 차단 문의’ ‘자녀 결혼식 문제’ 보도를 문제 삼았다. 최 위원장은 지난달 20일 MBC 비공개 업무보고 과정에서 자신이 등장하는 MBC '뉴스데스크' 리포트 <고성·막말에 파행만..'막장' 치닫는 국감>을 문제 삼고, ‘개별 보도 사안에 대한 질의는 부적절하다’는 답변이 나오자 MBC보도본부장을 퇴장시켰다. 최 위원장은 나흘 뒤인 24일 해당 보도에 대해 언론중재위에 조정을 신청했다.
또 최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관계자가 방통심의위에 비판 유튜브 보도에 접속 차단을 문의했다’는 한겨레 [단독] 보도에 대해 정정보도를 청구했다. 전날 한겨레는 위원장실 관계자가 지난 7월 인터넷 언론 고발뉴스TV 영상에 대해 접속차단 등의 처분이 가능한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문의했다고 [단독] 보도했다.
최 위원장은 자녀 결혼식 관련 보도 3건에 대해서도 언론중재위 조정을 신청했다. 신청 이유는 “과방위원장인 신청인이 양자역학 등을 공부하느라 딸의 결혼식 자체를 알지 못했다고 발언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 “신청인이 유튜브를 보고서야 딸의 결혼식 날짜를 알게 됐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 등이다. 최 위원장이 자녀 결혼식 세부 사항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지 결혼식 날짜 자체를 몰랐다는 게 아니라는 취지다.
최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과방위 국정감사 말미 ‘자녀 결혼식 문제’에 대해 “논란의 씨가 없도록 좀 더 관리하지 못한 점이 매우 후회되고 아쉽다. 제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또 최 위원장은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에 대해 권태선 방송문회진흥회이사장에게 사과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최 위원장은 “다만 터무니없는 허위 주장에 대해 기록의 차원에서라도 남겨둬야 한다”면서 반박에 나섰다.
특히 최 위원장은 한겨레 보도와 관련해 “비서관이 방통심의위 직원에게 문의한 것”이라며 “허위, 왜곡 보도였고 결국 (해당 보도 관련)기자는 저에게 유감을 표했고 사과했다. 이것이 피감기관에 대한 갑질이라면 왜 그런지 알고 싶고, 이게 왜 방심위 사유화인지 알 길이 없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이 사안을 끝냈는데 이것을 한겨레가 허위조작정보 근절법을 제가 발의한 이후 이렇게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조선일보에 “과방위원장의 무차별 언중위 제소는 언론 재갈 물리기나 다름없다”면서 “최 위원장은 언론계에서 제기되는 사퇴 요구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는 지난달 31일 성명에서 ‘MBC 보도본부장 퇴장 조치’에 이어 “과방위원장실 관계자가 최 위원장의 태도를 문제 삼은 매체의 보도와 관련해 기자에게 이메일을 보내 기사삭제 압박으로 느껴졌다는 보도까지 나왔다”면서 “과방위원장이 언론을 압박하고 자신의 직위를 사적 민원처리 수단으로 쓴다는 비판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기자협회는 “비판 기사를 쓴 매체에 반론권을 요청하거나 언론중재위에 정정·반론 보도를 청구하는 방법이 있다”며 “과방위원장을 두고 언론자유 침해란 말이 나오는 자체가 문제다. 최 위원장은 언론 전반을 향한 부적절한 행위에 대해 공개 사과하고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정의실천연합(경실련)은 3일 성명에서 “최민희 의원의 연이은 언행은 과방위원장이라는 막중한 권한을 공익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적으로 행사하고 있다는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며 “(최 위원장은)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고 축의금 수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권익위로부터 철저한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